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사상 최고가 또 경신…'금 가격' 왜 올랐나?

16일 국제 금 가격, 온스당 2537.8달러…3일 만에 사상 최고가 재경신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및 중동·동유럽 전쟁 위기감에 금 수요 상승
전문가들, "금 가격 상승 요인 여전해…추가 상승 가능성 열려있어"

종로구 한국 금거래소에 전시된 골드바./뉴시스

금값이 치솟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면서 금리 인하 폭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중동과 동유럽의 전쟁 위기감도 커지면서 금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금 가격의 상승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고 내다봤다.

 

19일 뉴욕상업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지난 16일 온스당 2537.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이는 전일보다 45.40달러(1.8%) 상승한 수준으로, 지난 13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종가기준)인 2507.80달러를 3일 만에 다시 경신했다.

 

시장에서는 오는 9월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유력한 가운데, 연준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50bp(1bp=0.01%포인트) 이상 인하하는 '빅스텝'을 단행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금 가치를 끌어올리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통상 기준금리가 내리면 통화가치 하락에 따라 인플레이션 헤지(화폐가치 하락기에 화폐를 가치 보전이 가능한 자산으로 대체하는 것) 수단으로의 금 수요가 늘게 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9월 18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00%로 확신하고 있다. 인하 폭에서는 25bp 인하 가능성이 73.5%, 50bp 인하 가능성이 26.5%로 전망이 갈렸다.

 

아울러 이달 들어 고조된 중동과 동유럽의 전쟁 위기감도 안전 자산인 금 수요를 증가시키면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하마스의 정치적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가 피살된 이후 이란은 암살 배후로 이스라엘을 지목하고 보복 공격을 공언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11일 전쟁 억제를 위해 항공모함 전단과 핵잠수함을 중동에 배치했다. 그러나 16일 카타르에서 열린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이 양측 대표단의 불참으로 성과 없이 결렬되면서, 중동 지역에서의 확전이 임박했다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지난 6일 감행된 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을 향한 공격이 계속되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관측도 금 수요를 부추기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 가격의 상승 요인이 여전하다고 분석했다.

 

귀금속 투자 전문 사이트 골드식닷컴(GoldSeek.com)의 피터 스피나 사장은 "시장에 많은 불안 요소들이 남아있고, 금 구매자들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경제적 위기 등 불안정성을 인식하고 있다"며 "금은 안전자산으로의 이점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금이 앞으로 몇 달 안에 최고 기록을 경신할 수 있는 모든 요소가 갖춰졌다고 생각한다"라며 "올 여름 초보다 온스당 3000달러가 훨씬 더 가까워졌고, 금 가격은 내년 1분기 말까지 3000달러를 시험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귀금속 전문 매체인 골드뉴스레터(Gold Newsletter)의 브라이언 룬딘 편집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각국 중앙은행 금 수요가 급증했다"라며 "달러의 무기화 이후 각국 중앙은행은 준비 자산을 달러에서 금으로 옮겨 스스로를 보호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준의 금리 인하가 분명해지는 가운데, 서양의 투자자들은 시장에서 금 가격을 더 높게 책정하고 있다"라며 "중국을 비롯한 동양 투자자들이 금 매수에 뛰어든다면, 지금보다 더 높은 금 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