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iM뱅크, '생활금융' 확대로 충성 고객 확보 나선다

iM뱅크, 이달 초 전문직 채용 진행…직무는 '모바일 뱅킹 개선' 중점
모바일 뱅킹 내 '생활금융' 서비스 확대 추진…고객 충성도 확보 목표
오는 2025년 간편결제 출시 목표…실생활 활용도 높은 서비스도 개발

대구 iM뱅크 제2본점./iM뱅크

상반기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옛 DGB대구은행)가 모바일 뱅킹의 '생활금융' 서비스 확대에 힘쓰고 있다. 지난 6월 시중은행 재출범 이후 각종 예·적금 및 대출 특판을 앞세워 신규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는 만큼, 다양한 생활금융 서비스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iM뱅크는 이달 초 디지털 부문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채용을 진행했다. 채용 대상 직무는 UX·UI(사용자 경험·사용자 공간), 애플리케이션 개선, 간편결제 개발·운영, 제휴 콘텐츠 기획 등 비대면·모바일 서비스 개선에 집중됐다.

 

금융권에서는 iM뱅크가 시중은행 전환 이후 연달아 고금리 예·적금, 저이율 대출 등 특판으로 비대면 신규 고객 유치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고객 충성도 확보를 위해 모바일 뱅킹 앱 개선 및 '생활금융'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앞서 iM뱅크가 지난 2월 시중은행 전환 인가 신청 당시 영업확대 전략으로 중소기업 맞춤형 금융과 비대면 개인 금융에 중점을 둔 '뉴 하이브리드 뱅크' 전략을 제시한 만큼, 비대면 금융의 주요한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생활금융' 서비스 확대에 나섰다는 것이다.

 

생활금융은 금융 애플리케이션이 입출금 및 대출 뿐만 아니라 간편결제, 쇼핑, 증권 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비대면 금융이 보편화되며 은행 간 고객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고객의 모바일 뱅킹 사용 빈도를 높이는 생활금융 서비스는 은행의 경쟁력과 직결되고 있다.

 

생활금융의 원조 격인 3개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은 자사 앱과의 연계를 통해 간편송금, 금융 상품 비교, 신용점수 관리, 국내외 증권 거래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했다.

 

앱·리테일 분석 기업인 와이즈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3개 인터넷은행 앱의 사용자 수는 약 4000만명에 육박한다. 4대 시중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 모바일 앱 이용자인 3300만명보다 700만명 가량 많다.

 

이어 4대 은행 중 모바일 뱅킹 이용자가 가장 많은 KB국민은행은 주식매매, 주택청약, 중고차 매물조회 등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다른 은행들도 보험 추천, 연금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잇달아 출시하며 인터넷 뱅킹을 쫓고 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인터넷은행 및 시중은행보다 디지털화 수준이 뒤처지는 지방은행도 모바일 뱅킹 내 생활금융 서비스 강화에 힘쓰고 있다.

 

BNK부산은행은 모바일 뱅킹 내에 지역 맛집 정보를 제공하는 '고메부산', 간식 전문 쇼핑몰 '라이프 스낵 365'을 운영 중이며, 전북은행도 오늘의 운세, 자가 건강진단, 세계 금융 뉴스 등 생활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iM뱅크가 제공하는 생활금융 서비스는 지역화폐 플랫폼 'iM샵', 실시간 금 가상 거래 서비스 '센골드', 블록체인 기반 기부 서비스 '체리 간편 기부' 등이다.

 

iM뱅크는 이번 인력 채용을 통해 간편결제 앱인 'iM페이'를 내년까지 공개할 예정이며, iM뱅크 앱에도 청소년 전용 선불카드 플랫폼 'iM-i', '경조사비 간편송금' 등 실생활 활용도가 높은 생활금융 서비스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iM뱅크 관계자는 "시중은행 전환 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 직종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라며 "iM뱅크와 시너지 효과를 낼 우수 인력을 채용해 고객 편의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