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김소형의 본초 테라피] 몸에 좋은 노란 생강 '강황'

김소형 한의학 박사

입맛이 없는 날에는 특별한 음식이 당긴다. 그렇다고 거창한 음식은 부담스럽고 조리법이 간단하면서도 가볍게 먹을 수 있고 온 가족이 좋아하는 그런 음식. 바로 카레가 그런 음식 중 하나일 것이다. 카레에는 이국적인 다양한 향신료가 들어간다. 그중 제일 잘 알려진 것이 약재료도 많이 쓰이는 '강황'이다.

 

강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카레만이 아니라 전 세계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강황이라고 하면 '울금'을 떠올리기도 한다. 강황과 울금이 같은 것인지, 혹은 다른데 어떻게 다른지 혼동하는 사람들도 많다. 줄기에서 큰 뿌리까지는 강황, 거기에 매달린 작은 덩이뿌리는 울금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 식약처에서는 강황과 울금을 혼용하도록 허용했다. 실제로 본초학적으로도 이 둘은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을 가진 약재다. 혈액순환의 촉진, 통증의 완화, 정상적인 월경 활동 등을 돕는다. 하지만 큰 차이가 하나 있다. 강황은 따뜻한 성질을 지녔고, 울금은 찬 성질을 지녔다는 점이다. 따라서 약재로 쓸 때는 자신의 체질을 잘 체크하여 그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황(薑黃)은 생강 강, 누를 황 자를 써서 '노란색 생강'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강황과 울금은 몸에 그렇게 좋다는 생강과 굉장히 유사한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울금의 경우 생강과 비교했을 때 식이섬유,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하여 칼륨, 마그네슘, 인과 같은 필수 미네랄 함량이 더욱 높다.

 

강황의 대표적인 성분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커큐민이다. 커큐민에는 항산화, 항암 효과가 있으며 항염 작용으로 만성염증을 예방 및 개선한다. 근래에는 커큐민이 노인의 인지능력 개선과 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 그리고 유방암, 위암, 폐암 등 다양한 암 치료에 효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발표된 바 있다.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식사로만 여겼던 카레에는 이렇게 몸은 좋은 강황 성분이 들어있다. 이제는 카레만이 아니라 밥이나 차의 재료로 강황과 울금을 자주 활용하기를 기대해 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