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셀트리온, 영국서 압도적 처방 성과 거둬..."글로벌 탑티어 지위 다졌다"

/셀트리온.

셀트리온의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영국에서 강력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30일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 전체 제품군은 올해 1분기 영국 인플릭시맙 시장에서 8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처방 1위를 유지했다. 이중 램시마SC(미국 제품명: 짐펜트라)는14%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셀트리온은 이중 처방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램시마SC와 함께 정맥주사(IV) 제형인 램시마 처방도 늘어났고, 경쟁 인플릭시맙 제품에서 램시마IV로 전환한 뒤 다시 램시마SC로 스위칭하는 상호 보완 효과가 극대화됐다는 것이 셀트리온 측의 설명이다.

 

영국 인플릭시맙 시장 규모는 유럽 전체 인플릭시맙 시장의 약 16%에 해당해 시장성과 영향력 측면에서 주요 국가로 꼽힌다. 특히 영국 정부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바이오시밀러의 강점을 높이 평가해 정책적으로 처방 확대를 지원하는 등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다른 제품군에서도 성장이 이어졌다. 전이성 직결장암, 유방암 등에 쓰이는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는 올해 1분기 베바시주맙 시장 점유율 32%를 달성해 해당 시장에서 1위에 올랐다. 이는 출시 후 약 1년 만의 성과다.

 

셀트리온은 경쟁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20% 이상 시장을 선점한 상태에서 베그젤마가 후발 주자라는 한계를 뛰어넘었다고 설명한다.

 

혈액암 치료용 '트룩시마'(성분명: 리툭시맙)도 오리지널보다 높은 36%의 시장 점유율로 경쟁력을 입증했다.

 

셀트리온 영국 법인은 입찰 진입부터 영업에 이르기까지 현지 의료 시스템을 고려한 맞춤형 전략을 추진해 왔다. 특히 영국에서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선 4개 행정구역에서 진행되는 국가보건서비스 입찰 결과가 필요하다.

 

다만 이 입찰에서는 여러 공급자가 선정되기 때문에 실제 의약품 처방에는 영업 활동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셀트리온 측의 설명이다. 셀트리온 영국 법인은 의료 현장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에게 제품 강점, 의약품 공급 안정성 등 셀트리온만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알려 실질적인 처방 성과를 이루는 데 성공했다.

 

셀트리온은 최근 유럽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성분명: 우스테키누맙), 졸레어 바이오시밀러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 등 후속 제품으로 성과를 이어갈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