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국내증시 떠나는 투자자들…금투세 불확실성·주도주 실종 등 투자 매력↓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 종가가 표시돼 있다. /뉴시스

코스피가 2600선에서 제자리걸음 하는 등 국내 증시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투자자들의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 증시 상승 모멘텀이 부재한 데다 금융투자소득세 불확실성 등으로 국내 증시의 투자 매력도가 떨어졌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꾸준히 매수세를 지속해 온 외국인 투자자들이 최근 순매도로 전환, 지난달 코스피에서 2조8682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월간 기준으로 외국인이 순매도를 기록한 것은 지난 5월(1조3307억원) 이후 3개월 만이다. 순매도 규모는 지난해 10월(2조9442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특히 외국인들은 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 위주로 팔아치웠다. 8월 한 달간 삼성전자 2조880억원, SK하이닉스 900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 기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는 11.44%, 10.74% 급락했다.

 

조창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증시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그널을 강하게 시사했음에도 탄력을 얻지 못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이유는 엔비디아 실적에 대한 경계감"이라며 "반도체 비중이 높은 한국 증시에 대한 경계감이 더욱 큰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개인투자자들도 적당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채 떠돌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예탁금은 지난달 29일 기준 53조605억원으로, 주가가 폭락했던 지난달 5일 59조4876억원과 비교하면 약 한 달만에 6조4000억원 이상 급감했다. 투자자예탁금은 개인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 맡겨두거나 주식을 매도한 뒤 계좌에 남겨둔 돈으로 증시 대기성 자금이다. 통상 투자자예탁금 감소는 투자자들이 증시를 떠나는 신호로 거론된다.

 

또 다른 대기성 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 잔고도 지난달 29일 기준 199조6751억원으로 지난달 5일(208조3371억원) 대비 8조6000억원가량 줄었다. MMF는 만기가 짧은 국고채나 기업어음(CP) 등 단기물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비교적 좋은 수익률을 얻으면서도 언제든 환매가 가능하다는 점에 대기성 자금으로 여겨진다.

 

빚내서 주식에 투자하는 일명 '빚투' 규모도 급감했다.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주식 살 돈을 빌리는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같은 기간 19조2941억원에서 17조8441억원으로 감소했다.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융투자소득세 관련 불확실성에다가 최근 시장을 이끄는 주도주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주식 포지션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의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향후 코스피는 주요 이슈들을 소화하며 2,600∼2,800에서 박스권 등락할 것"이라며 "양호한 금융시장 환경이 지속되려면 4차 산업혁명 관련 투자와 성장의 지속, 연착륙을 유도할 적절한 통화 정책,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 미국 대선 2차 토론회,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 9월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벤트가 많다"며 "궁극적으로 투자는 지속되고 통화 정책은 완화적일 것이나, 금융시장은 하나씩 확인하고자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