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제한선
잉그리드 로베인스 지음/김승진 옮김/세종서적
1960년대 인도보다 소득이 낮았던 대한민국은 현재 백만장자의 수가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나라로 성장했다. 허나 한국은 여느 선진국 이상으로 부의 불평등이 심각하다. 상위 10%가 전체 부의 절반 이상인 53.3%를, 상위 1%는 전체 부의 22.3%를 거머쥐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왜 가난에만 주목하고 부의 제한선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 걸까. 저자는 안전판이 부실하고 불평등이 심화되는 사회에서 극단적인 경쟁만 지속된다면 필멸의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경고하며 양극화 시대의 대안으로 '부의 제한주의'를 제안한다. 책은 그 누구도 백만장자가 될 자격이 없으며, 부의 극단적 집중화는 사회의 응집을 해칠 뿐만 아니라 생태적 지속 가능성에도 위배되는 일이라고 설명한다.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도덕 원칙들을 어기는 슈퍼 리치의 부에 제약을 가하자고 저자는 말한다. 416쪽. 2만2000원.
◆왜 미국은 이스라엘 편에 서는가
존 J. 미어샤이머, 스티븐 M. 월트 지음/김용환 옮김/크레타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지원하기 시작한 미국은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도 중동의 골리앗을 두둔하는 비합리적인 행동을 지속하고 있다. 2024년 현재 미국은 '국경 정책 강화', '이스라엘에 지속적인 안보 지원'을 내걸며 치열한 대선 전쟁을 펼치는 중이다. 허나 이스라엘은 미국의 휴전 촉구를 거부하며 헤즈볼라를 공격해 중동 위기관리 문제의 변수로 떠올랐다. 로비와 이익집단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미국 패싱'으로 대응하는 이스라엘의 행위로 가장 피해를 보는 건 방패막이가 된 민간인들이다. 저자들은 미국의 중동 정책은 오늘날 이스라엘을 대표적인 극우 국가로 변모시켰으며, 이로 인해 세계 초강대국의 리더십이 바닥으로 추락했다고 평가한다. 미국 내 정책을 친이스라엘 방향으로 이끄는 로비 이익집단이 자유 국가 미국을 어떻게 망가뜨리고 있는지 까발리는 책. 508쪽. 2만4000원.
◆불안을 철학하다
사미르 초프라 지음/조민호 옮김/안타레스
불안은 살아있는 한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고통이다. 책은 필멸의 고통을 실존의 용기로 승화한 철학자들의 사례를 통해 불안과 더불어 살아갈 방법을 알려준다. 불안을 철학적으로 들여다본다는 것은 단순히 불안에 반응하고 고통을 느끼는 게 아닌, 불안을 생각하고 반추한다는 의미다. 불안을 철학적 사유의 중심에 놓고 고찰한 붓다는 편하지 않고 조마조마한 마음을 우리 자신의 본성에 대한 깊은 오해에서 비롯된 고통으로 본다.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우리가 불안을 떠안고 살아갈 방법을 찾아야 하며, 불안과의 투쟁을 기꺼이 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무의식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통해 불안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이를 우리 존재를 인식하는 감각에 통합하라고 조언한다. 유물론을 창안한 카를 마르크스는 불안을 '사회의 결과'로 규정하고, 정치·문화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켜 삶에 불안을 유발하는 원인을 없애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288쪽. 2만원.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