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하늘에서 즐기는 K-푸드…여행객 수요 증가에 기내식 개발 속도

식품업계가 여행객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내식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기내식은 높은 고도에서 운항하는 항공기 내부 환경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항공사 자체만으로는 개발이 어렵다. 때문에 식품기업과 손 잡고 기내식을 개발하는 추세다.

 

식품사에게 기내식 사업은 새로운 수익원이자 외국인들에게 K-푸드를 알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항공사의 경우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을 확보할 수 있어 기내식 개발에 힘을 주고 있는 것.

 

CJ제일제당-티웨이항공 공동개발 기내식 신제품 2종/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이 호주 콴타스항공에 납품하는 기내식 비비고 찐만두/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끊임없는 R&D연구와 전용라인 투자를 통해 기내 환경에 최적화된 조리와 취식 조건을 확보하고 최상의 맛 품질 구현에 힘썼다. 그 결과, 국내 최초 완제형 냉동 기내식 개발에 성공, 지난해부터 국내 주요 항공사에 기내식 서비스를 운영중이다.

 

지난 5월에는 저비용항공사(LCC) 티웨이항공과 손잡고 기내식 메뉴 2종을 선보였다. 비행시간이 10시간 이상 걸리는 유럽행 노선에 제공되는 메뉴로 '소고기 버섯죽'과 '소시지&에그 브런치'다.

 

기내 조리 조건에 맞춰 최적의 죽 식감, 토핑의 구성과 크기를 적용해 부드러우면서도 씹는 맛이 조화롭다. '소시지&에그 브런치'에는 CJ제일제당의 차별화 기술인 '에어 셀(Air-cell)' 기술을 적용해 포슬포슬함을 살렸으며 기내 오븐 조리에 최적화한 부드러운 식감을 구현했다.

 

지난 10일 서울 성동구 신세계푸드 본사에서 신세계푸드 송현석 대표(왼쪽에서 네번째)와 대한항공C&D 최덕진 대표(왼쪽에서 다섯 번째)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양사간 상호협력 증진 및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식이 열렸다./ 신세계푸드

이달부터는 호주 최대 규모 항공사 콴타스항공(Qantas) 기내식으로 비비고 만두를 제공하고 있다. 호주에서 영국(런던), 싱가포르, 필리핀(마닐라), 일본(도쿄), 캐나다 등을 오가는 국제선과 퍼스(Perth)행 국내선 승객들의 간식으로 제공중이다. 전 세계 주요 도시에 노선을 운영하는 만큼 비비고 만두의 글로벌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신세계푸드는 대한항공C&D와 업무협약을 맺고 가치소비 고객의 선택 폭을 넓히기 위해 식물성 기내식 메뉴 개발에 나섰다.

 

대한항공C&D는 신세계푸드의 식물성 대안식품을 활용한 기내식 메뉴 개발과 항공사 공급을 확대하고, 신세계푸드는 식물성 기내식에 적합한 대안식품의 개발 뿐 아니라 한식, 중식, 양식 등에 최적화 할 수 있는 메뉴를 제안하며 대한항공C&D가 수준 높은 식물성 기내식 공급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신세계푸드 측은 "건강, 가치소비 등의 이유로 식물성 대안식품을 즐기는 고객들이 항공사 기내식으로도 다양한 메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대한항공C&D와 뜻을 모으게 됐다"고 말했다.

 

아워홈은 일찍이 지난 2018년 한진중공업그룹의 기내식 서비스 업체 '하코(HACOR)'를 인수하고 기내식 시장에 뛰어들었다. 업무협약이 아닌 기존 기내식 업체를 인수해 직접 미국, 싱가포르, 일본, 튀르키예 등 10개국의 글로벌 항공사에 기내식을 제공하고 있다.

 

아워홈

인수하고 이듬해인 2019년 하코의 매출은 721억원이었지만, 코로나19의 여파로 2020년 247억원, 2021년 244억원으로 매출이 급감했다. 이후 엔데믹으로 전환하고 하늘길이 열리면서 매출은 지속 성장세다. 지난해 하코 법인의 매출은 871억원으로 전년(622억원) 대비 40.0% 증가했다. 아워홈이 하코를 인수한 후 최대 매출이다.

 

아워홈은 하코를 등에 업고 글로벌 사업에도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아워홈이 주력하고 있는 지역은 미국으로 기내식 사업 외에 2021년 미국 우정청 구내식당 위탁 운영 계약을 체결하며 미국 사업을 확대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내식으로 제품을 공급하게 되면 외국인 승객을 상대로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현재도 기내식 외에 해외에서 인지도가 높아진 식품(라면, 만두)을 찾는 고객은 꾸준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