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특별기고/'K-위스키'의 발전을 위한 제언] ③새로운 세계 위스키 시장 트렌드

 

정성운 골든블루 마케팅팀 과장

[인트로] 최근 몇 년간 위스키 시장에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만을 포함한 '뉴월드 위스키'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이들은 독창적인 접근 방식과 높은 품질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뉴월드 위스키의 성장과 이들이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몇 년간 세계 위스키 시장에는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전통적인 위스키 강국으로 알려진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일본 외에도 대만을 포함한 '뉴월드 위스키' 생산국들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뉴월드 위스키는 독창적인 접근 방식과 높은 품질로 글로벌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만은 최근 몇 년간 위스키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다. 그 중심에는 '카발란(Kavalan)'이라는 브랜드가 있다.

 

2008년 첫 제품을 출시한 이후, 카발란은 전 세계 위스키 애호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국제 대회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하는 등 그 품질을 인정받았다.

 

대만의 위스키는 대만의 독특한 기후와 자연환경 그리고 전통적인 증류 기법과 현대적인 기술의 결합을 통해 만들어지며 이는 짧은 숙성 기간에도 불구하고 깊은 풍미를 만들어내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들이 대만 위스키가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다.

 

대만 카발란 위스키 증류소의 메인 생산 시설.

대만뿐만 아니라 호주도 뉴월드 위스키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다. 호주는 독특한 지리적 환경과 기후를 활용해 다양한 스타일의 위스키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호주산 위스키는 풍부한 맛과 향이 특징이다. 타스마니아(Tasmania) 지역은 호주 위스키의 중심지로 이곳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는 그 품질과 독창성으로 인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인도 역시 뉴월드 위스키의 중요한 생산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위스키 소비국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자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인도 위스키는 독특한 향신료와 과일 향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인도의 기후와 토양, 그리고 전통적인 증류 방법에서 기인한다. 이미 몇몇 제품들이 국제 무대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며, 인도 위스키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뉴월드 위스키의 부상은 세계 위스키 시장에서 다양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전통적인 위스키 강국들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지만 뉴월드 위스키 생산국들은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시장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며 위스키 문화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만, 호주, 인도 등 뉴월드 위스키 생산국들은 각자의 독특한 기후와 재료, 제조 방식을 활용해 세계적인 품질을 자랑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국제적인 위스키 대회에서 수많은 수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품질 중심의 경쟁은 전통적인 위스키 강국들에게도 긍정적인 자극이 되고 있으며 전반적인 위스키 시장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 역시 2020년을 기점으로 위스키 원액을 직접 생산하는 국가 반열에 합류하여 세계 위스키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세심한 디테일을 중요시하는 한국 특유의 장인정신과 이를 통해 성취한 높은 문화적 수준을 위스키에도 접목한다면 앞으로 세계에서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세계 위스키 시장은 이제 더 이상 전통적인 강국들만의 무대가 아니라 뉴월드 위스키와 함께 다채로운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는 장이 되어가는 중이다.

 

[아웃트로] 다음 회차에서는 K-위스키의 가능성과 국내 위스키 산업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입니다./정성운(서울대 사회학과,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양조증류학 석사, 現 골든블루 마케팅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