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지방금융지주, 아시아 영업 확대…'소액금융' 공략

3대 지방금융(BNK·DGB·JB), 아시아 신흥국 진출 확대…10개국 진출
현지 자회사, '소액금융' 공급에 초점…영업 인가 쉽고 마진율 높아
'근로자'·'유학생' 등 국내 체류 외국인도 공략…상담·전용 상품 공급

DGB금융의 라오스 현지 소액금융 전문 법인인 'DGB DLMC'의 영업점 모습. 소액금융(마이크로파이낸스)은 신흥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금융 서비스다./DGB금융

지방금융지주가 아시아 신흥국 영업을 확대하고 있다. 각 지방금융은 국내 금융기관의 진출이 잦았던 동남아시아에 이어 중앙아시아에서도 현지 금융환경에 특화된 '소액금융' 공급에 주력하고, 국내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및 유학생 고객을 공략하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3대 지방금융(BNK·DGB·JB)은 지방 소멸과 영업이익 축소에 대응하기 위해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 중인 아시아 신흥국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3대 지방금융이 진출한 아시아 국가는 10개국에 달한다.

 

BNK금융은 지방금융 가운데 가장 많은 9개국에 진출했다. 특히 국내 금융기관의 진출이 미진했던 중앙아시아 지역 진출에도 힘쓰고 있다.

 

부산은행은 중국·베트남에서 영업점을 운영 중이며, 인도,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현지사무소를 설치해 시장 조사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BNK캐피탈은 미얀마·캄보디아·라오스·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현지에서 소액금융(마이크로 파이낸스) 자회사를 운영 중에 있다.

 

DGB금융은 두 번째로 많은 6개국에 진출했다. 이 중 5곳은 인도차이나 주변 국가로, 현지 법인을 통한 소액금융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iM뱅크는 베트남과 중국에서 영업점을 운영 중이며, 캄보디아에서는 현지 은행을 자회사로 보유했다. 이어 DGB캐피탈은 라오스·미얀마·캄보디아에서 소액금융 자회사를 운영 중이다. 올해 초에는 DGB금융지주가 싱가포르에서 자산운용사를 신규 출범했다.

 

JB금융의 진출국은 3개국으로 가장 적지만, 실적 면에서는 호실적을 기록 중이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미얀마와 베트남에 각각 현지 은행·자산운용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고, JB우리캐피탈은 미얀마에서 소액대출 법인을 운영 중이다. 특히 전북은행의 해외 자회사는 지난해 전북은행의 전체 이익의 18%에 달하는 340억원을 벌어들였다.

 

각 지방은행의 해외 영업점들은 현지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금융 취급에 주력하고 있지만, 현지 법인들은 신흥국 금융환경에 특화된 금융상품인 '소액금융' 취급에 주안점을 뒀다.

 

소액금융은 빈곤층에 생활비나 사업자금 등 소액대출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으로, 신흥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소액금융 법인은 은행보다 신규 인가를 받기 쉬우며, 취급 금리가 높아 마진율도 높다.

 

한 지방금융 관계자는 "아시아 신흥국들은 높은 성장률에도 금융 인프라가 불충분해 가능성이 큰 시장"이라며 "특히 신흥국들은 경제 성장률이 높은 만큼 금리도 국내보다 높은 편이고, 이에 진출 시 기대 가능한 이익도 크다"라고 설명했다.

 

각 지방금융은 외국인 근로자·유학생 등 아시아 신흥국 출신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도 영업 확대에 힘쓰고 있다.

 

BNK금융의 부산은행은 지난 8월 외국인 화상 상담 언어를 7개(영어·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우즈벡어·네팔어·벵골어)로 늘렸고, 일부 지점에 외국인 유학생 전용 창구를 설치했다. 경남은행도 이달 외국인 근로자 전용 대출을 출시했고, 창원·울산 내 일부 지점에서 외국인 근로자 전용 창구를 설치했다.

 

DGB금융의 iM뱅크는 지난 8월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해외 송금 서비스를 시작했다. 또한 대구·경북 지역 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금융교육도 시행하고 있다.

 

JB금융의 전북은행은 지난달 외국인 특화 상담센터인 '브라보 코리아(BRAVO KOREA)'를 오픈했고, 전용 모바일 앱 구축을 위해 외국인 직원 채용을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다른 한 지방금융 관계자는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금융 수요가 늘고 있다"라며 "특히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외국인 근로자가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각 지방은행은 외국인 대상 금융을 적극 확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