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영화의전당, ‘2024 캐나다 영화제’ 11월 7~17일 개최

포스터/영화의전당

영화의전당은 지난 8월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NFB와 개최한 해양환경교육 워크숍에 이어 지속적인 교류 협력을 통해 오는 7일부터 17일까지 '2024 캐나다 영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최근 세상을 떠난 캐나다 퀘벡 출신의 거장 장 마크 발레 감독을 기리는 추모전과 주목할 만한 최신 캐나다 동시대 영화, 캐나다 다큐멘터리의 역사와 성취를 돌아보는 작품들을 만나는 기회를 마련한다.

 

장 마크 발레 추모전, 2023 텐 베스트-주목해야 할 캐나다 동시대 영화, NFB의 유산 등 3개 섹션에서 총23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퀘벡 출신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인 장 마크 발레(Jean-Marc Vallee, 1963~2021)는 감성적이고 사실적인 연출 스타일로 잘 알려져 있다.

 

'블랙 리스트'로 데뷔 후 '크.레.이.지'(2005)로 평단의 찬사와 흥행을 모두 거머쥐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이후 '영 빅토리아'(2009), '카페 드 플로르'(2011)등으로 작품 세계를 확장했다.

 

특히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2013)에서는 삶의 복잡한 현실과 자기 발견의 여정을 깊이 있게 탐구해 큰 호평을 받았다. 그는 휴대용 카메라로 자연광을 담은 촬영 기법을 선호했으며 배우에게 대본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연기를 유도해 감정선을 생생하게 담아내는 데 탁월한 역량을 보였다.

 

2021년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영화계에 큰 충격을 안겼지만, 그의 작품과 연출 스타일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다.

 

장 마크 발레 추모전에서는 ▲보수적인 집안에서 자란 소년이 자신의 성정체성을 찾기 위해 성장하는 이야기 '크.레.이.지' ▲장 마크 발레가 직접 각본을 쓰고 연출한 '카페 드 플로르' ▲에이즈로 시한부 판정을 받은 한 미국 남성의 이야기를 담은 그의 대표작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헤로인에 중독된 여성 혼자 퍼시픽 크레스트 트레일을 걸으며 삶의 여정을 깨닫는 '와일드'를 상영한다.

 

2023 텐 베스트-주목해야 할 캐나다 동시대 영화에서는 ▲팬데믹 속 노숙자를 위한 쉼터를 만드는 목수와 시 당국의 충돌을 그린 개막작 '여기 사람이 산다'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 블랙베리의 개발이야기를 다룬 '블랙베리' ▲뱀파이어 소녀와 한 소년의 따뜻한 교감을 그린 '난 엄청 창의적인 휴머니스트 뱀파이어가 될 거야' ▲세븐 베일즈 ▲꿈속의 여인 등을 포함해 캐나다 영화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줄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NFB의 유산에서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인 초상을 이민자의 눈으로 그려낸 다큐멘터리 '호랑이 정신' ▲디지털 시대의 개인의 정체성과 잊혀질 권리에 관한 성찰을 담은 다큐멘터리 '스타워즈 키드' ▲구텐베르크부터 클라우드까지 인류 기록물의 역사를 총망라한 지적이면서 시적인 다큐멘터리 '종이 너머' ▲다채로운 단편들을 묶은 'NFB 단편선' 등 이번 영화제에서 총 23편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영화의전당과 주한캐나다대사관, 서울아트시네마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4 캐나다 영화제'는 11월 7일부터 17일까지 열린다. 모든 영화 상영 가격은 균일 3000원이다.

 

영화제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은 오는 7일 오후 6시 30분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관에서 열리며 주한캐나다대사관과 유관 기관 관계자 등 총 8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개막작 '여기 사람이 산다' 상영 후에는 잭 러셀 감독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도 진행될 계획이다. 상영 예매는 11월 1일 오전 9시부터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현장 예매는 상영일 당일 영화의전당 6층 매표소에서 발권 가능하다.

 

상영작 정보 및 상영 시간표는 영화의전당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부산은 2014년 아시아 최초로 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로 지정, 국내에서는 유일한 영화 창의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