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임경수 교수의 라이프롱 디자인] 경의선숲길에 걸려있는 작은 공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아내와 함께 경의선숲길을 걸었다. 끈질긴 여름을 떨치고, 가을의 프롤로그를 느끼고 싶었다. 공덕동에서 걷기 시작해 서강대 가기 전 쯤이 되었다. 남매로 보이는 어린 아이 두 명이 나무에 걸린 공을 잡으려고 높이뛰기를 하고 있었다.

 

한 아이의 공은 낮은 가지에 걸려 있었는데, 지나가던 젊은 연인이 발을 올려 쉽게 내려주었다. 하지만 다른 아이의 공은 더 높은 가지에 걸려 있어, 도저히 손을 뻗어 내릴 수 없는지 청년의 당황한 표정이 역력했다.

 

그 때 멀찍이 작은 벤치에서 인기척이 났다. 벤치에 앉아서 작은 공들의 서사를 모두 지켜보고 있던 외국인 노부부가 우산을 건네주었다. 다행히 키가 꽤 큰 청년이 그 우산을 받아서는 두 번째 공을 가지에서 떨어뜨릴 수 있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꿈꾸는 학습도시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학습도시는 지역주민들이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공간이다.

 

오늘날 많은 도시들이 학습도시로 전환하며, 지역주민들이 평생학습을 통해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가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주민들 간의 관계와 협력적인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지역 내에서 지식이 효과적으로 공유되기 위해서는 관계의 질이 중요하다.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네 가지 중요한 관계적 특성이 지식 공유를 촉진한다.

 

첫째, 다른 사람이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 아는 것, 둘째, 필요한 정보를 적시에 얻을 수 있는 것, 셋째,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려는 의지, 넷째, 관계의 안정성이 학습과 창의성을 증진시킨다.

 

이 네 가지 특성은 학습도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민들 간의 신뢰가 형성되고, 서로의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때 학습도시는 진정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학습도시가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서로의 지식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주민들이 서로의 전문성과 경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학습도시의 핵심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 주민들 간의 관계가 부족하거나 지식과 정보가 일부 사람들에게만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 학습도시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주민들 간의 지식 네트워크가 잘 연결되어 있었지만 실제로 필요한 시점에 그 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경로는 제한적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민들 간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지역 도서관이나 커뮤니티 센터에서 정기적인 학습 모임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교류하는 자리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교류는 주민 간 신뢰와 협력을 증진시키고, 지역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학습도시는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을 넘어, 주민들 간의 협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식 창출과 공유의 장이 되어야 한다. 경의선숲길에서 우산을 건네받아 공을 내린 젊은 남성의 이야기는 우리가 서로의 도구와 지식을 공유할 때 더 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지식과 경험이 공유되고, 사람과 사람이 연결된 도시야말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열쇠다.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