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돌아온 트럼프, 車산업 위기 경고…현대차·기아 대응 고심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유세 기간 동안 강력하게 내세운 부분은 '관세 정책'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도 관세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 완성차 업계의 관세 부담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 유세 기간에 수입품에 대한 10~20%의 관세 부과 하겠다는 공략을 펼쳤기 때문이다. 중국산 수입품처럼 60% 관세율은 아니어도 한국 완성차 업계가 관세 부담에서 자유롭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은 미국 내 생산 거점을 최대한 활용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면서 "다만 친환경차에 대한 보조금의 경우 다르게 책정 될 수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현대차그룹은 기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연산 36만대), 기아 조지아 공장(연산 34만대)에 더해 조지아주에 구축한 연산 30만대의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도 가동한 상태다. 이들 거점을 활용한 현지 생산을 통해 관세 폭탄을 피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또 최근 현대차가 미국 3대 자동차 기업 제너럴 모터스(GM)와 신차를 공동 개발·생산하고 배터리 같은 공급망까지 공동 관리하는 포괄적 제휴 관계를 맺은 것과 관련해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미국 자율주행기업 '웨이모'와도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어 현지 기술 기술 개발에 대한 부담감도 줄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보조금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라는 것은 부담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 보조금 지급 등의 내용이 담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전면 폐지하진 못해도 전기차 보조금 대상 차량 축소 등은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 선거에 올인한 테슬라의 앨런머스크에게 보이지 않는 특혜 정책도 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 운행허가 등 다양한 제도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테슬라 전기차가 독주 체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그룹의 마케팅 전략은 가성비 높인 전기차와 강력한 판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조합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라며 "트럼프 2기 집권 시기가 시작된 만큼 단점이 크게 보이지만 냉정하게 판단하고 치밀하게 준비하면 단점을 장점으로 회귀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