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되살아난 서울] (170) 비가 오길 빌며 제사 지내던 곳...강서구 '우장산공원'

지난 11일 오후 동네 주민들이 우장산공원에서 운동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과 화곡동의 경계에는 허파처럼 생긴 '우장산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지도를 펼쳐 놓고 가운데 있는 우장산로를 중심선으로 삼아 반을 접는다고 해서 두 개의 녹지가 데칼코마니처럼 꼭 맞게 겹치는 건 아니다. 늑골의 보호를 받는 장기(臟器) 폐처럼 한쪽이 조금 더 크기 때문이다. 참고로 허파는 오른쪽이 왼쪽보다, 우장산공원은 남쪽이 북쪽보다 크다.

 

◆기우제 열면 반드시 비 내려

 

11일 오후 동네 주민들이 우장산공원에서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지난 11일 우장산공원을 방문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우장산역에서 내려 1번 출구로 나와 '강서05'번 마을버스를 타고 6개 정류장을 이동, '강서구민회관' 정거장에서 하차해 목적지에 도착했다.

 

우장산은 땅이 기름져 벼가 잘되는 마을에서 유래된 동명을 가진 '화곡동'의 진산으로, 두 개의 봉우리로 형성됐다. 북쪽 산은 검두산·검덕산·검지산·검둥뫼로, 남쪽 산은 원당산·남산으로도 일컬어진다.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현 서울역사편찬원)가 펴낸 '서울의 산'에 의하면, 산명은 검두산과 원당산 두 곳에 기우제단을 차려놓고 천신께 비를 내려달라고 빌 때 제주(祭主·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가 세번째 기우제를 지내는 날에는 언제나 소나기가 쏟아져 내려 이 날 참가자 모두가 우장(雨裝)을 쓰고 산을 올라갔다는 전설에서 유래됐다.

 

우장은 비를 맞지 않기 위해 쓰는 우산, 갈삿갓이나 짚·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비옷인 도롱이 등을 이르는 말이다. 검두산과 원당산에서 기우제를 지내면서부터 두 산을 합쳐 우장산으로 부르게 됐다고 한다.

 

이달 11일 오후 시민들이 우장산공원에서 여유를 즐기고 있다./ 김현정 기자

미국에도 이와 유사한 구전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 비가 올 확률이 100%인 '인디언 기우제' 이야기다. 인디언들이 대단한 신통력을 지녀서가 아니라 비가 올 때까지 제사를 지내 이들이 기우제를 치르면 하늘에서 반드시 비가 쏟아졌다고.

 

우장산은 1980년대 중후반 시민공원으로 조성돼 1987년 12월 30일 개원했다. 우장산공원 면적은 35만9435㎡에 달한다. 공원 남쪽을 먼저 둘러보기 위해 원당산 방향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강서구민회관에서 싱그러운 낙엽 향을 따라 걷다 보면 '우장산 유아숲체험원'이 나온다. 유아숲체험원에는 ▲경사진 나무와 밧줄 위를 오르내리며 체력을 단련하는 '까치둥지 오르기' ▲흔들거리는 나무다리를 건너고 밧줄을 오르며 모험심을 기르는 '꿈틀꿈틀 놀이터' ▲숲속놀이의 안전 규칙, 놀이 방법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연 속에서 야외 학습을 하는 '도란도란 숲속교실' 등의 다채로운 놀이 공간이 마련됐다. 이날 어린이 한 명 없이 쓸쓸한 유아숲체험원을 보며 한국이 저출생 국가라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지난 11일 오후 한 시민이 우장산공원 내 황톳길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우장산공원에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만 있는 건 아니다. 산을 좀 더 오르면 작은 통나무집처럼 생긴 '우장근린공원 힐링체험센터'가 나온다. 센터에서는 오감숲산책, 숲카페 컵 만들기 등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회복 프로그램', 원예테라피, 피톤치드 호흡을 해보는 '오감 체험 프로그램' 등을 즐길 수 있다. 나무 건물 옆엔 맨발로 걷는 황톳길과 함께 세족장과 족욕장도 갖춰졌다.

 

◆새마을운동 흔적 남은 곳

 

11일 오후 시민들이 우장산공원에서 걷기 운동을 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우장산공원 남쪽을 찬찬히 둘러본 뒤 북쪽으로 길을 다시 잡았다. 우장산약수터에서 장기를 두는 어르신들을 배경으로 멋들어진 은행나무 사진을 한 장 찍은 뒤 산책로를 걸었다. 길은 공원 관리 차량이 다닐 수 있게 콘크리트로 포장된 회색 도로와 푹신해서 걷기 좋은 붉은 탄성 포장도로 두 개로 나뉘었다. 좌측 통행이 익숙한 어르신과, 우측 통행이 친숙한 젊은이들이 마주보며 걸어오다가 스텝이 꼬여 엉거주춤 당황하는 모습을 재밌게 구경하며 최종 목적지로 향했다.

 

이달 11일 오후 시민들이 우장산공원에 설치된 새마을 지도자 탑 앞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우장산 정상에는 회백색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새마을 지도자 탑'이 세워져 있었다. 새마을 운동 중앙회에 따르면, 이 탑은 1986년 8월 새마을 운동 중앙본부가 새마을 운동의 영속적인 발전과 새마을 지도자의 숭고한 봉사 정신을 표상하기 위해 건립했다. 당시 전국 23만 새마을 지도자의 성금으로 착공 8개월 만에 완성됐다고 한다.

 

400평의 부지 위에 직경 40m의 원형 바닥에 세워진 높이 15m, 13층짜리 화강석 탑으로, 탑신은 당시 전국 9개도와 1개 특별시, 3개 직할시를 의미한다.

 

8각형 바닥에 깔린 231개의 돌은 전국 시, 군, 구의 향토석을 이용한 것으로 각 지역에서 국가와 지역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새마을 지도자들의 화합과 단결을 상징하며, 탑신 중 두 개가 수직으로 결합된 형태는 도시와 농촌 새마을 운동 역군들의 협동 정신을 나타낸다고.

 

'서울의 산'을 집필한 나각순 박사는 "우장산 서쪽 기슭 발산2동 문화유씨 집성촌은 조선 숙종 때 좌의정을 지낸 유담후가 개화동 쪽에서 새로운 농토를 찾아 정착한 곳"이라며 "문화유씨 집성촌은 자손이 번성하고 부귀가 끊임없이 계속되는 이곳의 지세에 대해 우장산과 앞의 원당평야, 그리고 한강이 마을 앞 먼 곳에서 동류서향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연유로 내발산동 문화유씨 주민들은 우장산을 땔감도 얻고 홍수도 예방해주는 영산으로 여겨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에 풍년과 동네의 안녕·번영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곤 했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