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생·손보 보장성보험 경쟁 치열…"답은 상품 경쟁력"

보험업계 보장성 보험 확보 나서
내년도 제3보험 경쟁 격화 전망
"상품 경쟁력에서 신계약 판가름"

챗 지피티가 생성한 상품 경쟁력 관련 이미지./챗 지피티 생성 이미지

보험업계의 보장성 보험시장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상품 경쟁력에 관심이 쏠린다. 내년도 신계약의 향방이 상품 차별화를 통한 상품 경쟁력 제고에서 판가름 날 것이란 분석 때문이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내년도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경쟁 과열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양 업계는 올해 초부터 보장성 보험 판매 경쟁을 이어온 바 있다.

 

보장성 보험은 보험업계 최대 격전지로 꼽힌다. 지난해 새회계제도(IFRS17) 도입 후 보험계약마진(CSM)이 보험사 미래 수익 지표로 여겨진다. 보장성 보험은 CSM 확보에 유리해 보험사들의 주요 판매 상품으로 자리잡았다.

 

보험사들은 건강보험 등 제3보험 영역을 확장해 보장성보험 판매에 집중하면서 연이어 역대급 실적을 이어오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올해 1~9월 생명보험사 22곳, 손해보험사 31곳의 9월 말 누적 당기순이익은 13조39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5624억원(13.2%) 증가했다.

 

손보사는 8조90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68억원(13.6%) 증가했다. 5대 손보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메리츠화재)의 경우 누적 순익은 6조6916억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생보사는 5조30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56억원 증가했다. 수입보험료는 80조8313억원으로 4조3724억원(5.7%) 늘었고 그 가운데 보장성보험은 13% 증가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CSM 확보를 위한 장기 보장성보험 집중 판매로 보험사의 실적 호조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보험업계의 보장성 보험 확보 전략은 내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생보사의 단기납 종신보험 매출이 축소해 제3보험을 확대할 수 밖에 없어 건강보험 시장 경쟁 과열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이 최근 발표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을 가정하면 5년납 상품의 경우 손실 계약이 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금리 하락으로 현금유출액이 증가해 CSM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단기납 종신 7년납의 경우 CSM배수가 3~4배인데 비해 제3보험의 경우 15~20배로 높아 생보사들이 제3보험을 확대할 수 밖에 없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생보사가 주력으로 판매하던 단기납 종신보험의 판매 위축이 불가피하다"며 "장기요양 및 치매 간병보험 등 제3보험은 이미 손보사가 주력하고 있는 시장이므로 경쟁이 과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쟁 과열에 따라 상품 차별화로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내년 신계약의 향방은 상품 경쟁력을 앞세워 보험업계의 특허권인 배타적 사용권 획득에서 판가름이 날 것이란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내년 신계약의 향방은 전속 설계사 비중, 보장 시점, 보장 횟수 등 상품 경쟁력을 높여 배타적 사용권을 많이 획득한 보험사에 유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