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꿈틀되는 2금융권 M&A '왜?'

OK금융그룹, 상상인저축은행 실사 진행
MBK파트너스, 매각 주관사에 UBS 선정

Chat GPT가 생성한 '인수금융' 이미지./

롯데카드와 상상인저축은행의 매각설이 나오면서 2금융권 M&A(인수합병)가 성사될 지 관심이 쏠린다. 기준금리 인하 등 2금융권의 영업환경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이 있어서다. 일각에선 예비 인수자가 가격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 것으로 예상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OK금융그룹이 상상인저축은행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다. OK금융그룹은 내달 2주간의 실사를 통해 인수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다. 당초 OK금융그룹은 증권사 인수를 시사했다. 그러나 저축은행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말 기준 OK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13조7843억원이다. SBI저축은행(14조8211억원)에 이어 업계 2위다.

 

OK저축은행이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면 단숨에 업계 1위로 도약할 수 있다. 현재 상상인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등 2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상상인저축은행의 총자산은 2조7554억원이다. 1위인 SBI저축은행과 2조원 가까이 격차를 벌릴 수 있는 셈이다.

 

상상인저축은행뿐 아니라 롯데카드 매각설도 수면 위로 올랐다. MBK파트너스가 UBS를 매각 주관사로 선정하면서다.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 지분 59.8%를 보유한 대주주다. 당초 MBK파트너스가 인수금융을 5년 연장하면서 롯데카드 매각이 연기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던 만큼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지난 2022년 JP모건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해 롯데카드 매각을 추진한 바 있다. 금융지주사와 KT 등이 인수전에 뛰어 들었지만 가격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무산됐다. 당시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몸값을 3조원으로 책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롯데카드 자회사인 로카모빌리티를 맥쿼리자산운용에 3961억에 매각했다. MBK파트너스가 본격적인 가격 협상을 시작하면 롯데카드의 몸값을 2조5000억원으로 책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아울러 롯데카드의 베트남 법인인 '롯데파이낸스베트남'도 지난 6월 출범이래 첫 흑자를 기록했다. 해외 영업이 성공적으로 흘러가는 것 또한 가격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 것이란 분석이다.

 

이처럼 2금융권의 인수금융 시장이 활성화하는 배경에는 업황 개선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은행이 2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내년 하반기에는 2금융권의 대출업무가 기지개를 켤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본격적인 영업 활황을 앞둔 만큼 카드사와 저축은행 모두 매력적인 매물로 평가받는 것.

 

인수 후보자가 가격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어 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란 해석이다. 다음해 업황개선 조짐이 나오지만, 시장에 변수가 발생하면 인수자가 책임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상인저축은행의 가격 협상이 치열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업계 10위권에 드는 우량 저축은행이지만 지난해부터 건전성 지표가 크게 악화하면서다.

 

지난 9월말 기준 상상인저축은행의 누적 손실액은 658억원이다. 전년 동기(480억원) 대비 37.0% 증가했다. 같은 기간고정이하여신비율은 13.29%에서 22.27%로 8.98%포인트(p) 상승했다. 자산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유동성 비율은 연간 146.73%p 줄어든 124.75%로 집계됐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롯데카드 매각보다 상상인저축은행 인수가 우선 추진될 것"이라며 "상상인저축은행 인수가 건전성 지표에 따른 리스크가 큰 만큼 OK금융그룹 내부에서도 기업가치 대비 저렴하게 인수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판단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