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아이콘

진중권 지음/씨네21북스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운동이 보름 넘게 진행 중이다. 윤 대통령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헌법 재판소에서 파면이 최종 확정되기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시위가 오늘도 이어지고 있다. MZ세대가 집회를 이끄는 주축으로 등장했다는 보도가 연일 쏟아졌지만, 모든 젊은이들이 현장에 나가 목소리를 낸 건 아니다. 왜 어떤 2030세대는 '민주주의에 무임승차한다'는 비난을 들으면서도 집 밖에 나가지 않았던 걸까.

 

시사평론가 진중권이 쓴 '아이콘'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책은 철학적 개념의 용법을 다룬 일종의 매뉴얼로, 오늘날 세계를 바라보는 참신한 해석을 제공한다. 저자는 컴퓨터 바탕화면의 아이콘이 복잡한 명령어의 시각적 압축이듯, 개념은 난해한 철학적 사유의 시각적 은유라고 설명한다. 신(新)개념이 세계를 꿰뚫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것과 같이 철학은 개념의 발명을 통해 신세계를 열어 보여준다는 것이다.

 

저자가 책에서 소개한 'Versagung(거절을 뜻하는 독어)'이라는 개념을 통해 청개구리처럼 행동하는 청년들을 연구해봤다. 우리는 이들을 허먼 멜빌의 단편에 등장하는 '필경사 바틀비'에 대입해 분석해볼 수 있다.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I would prefer not to)"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바틀비는 '~하는 것'을 '부정'하는 대신 '~하지 않는 것'을 '긍정'한다.

 

저자는 "바틀비의 '소극적 저항'은 급진적"이라며 "고용인은 바틀비에게 '이것, 아니면 저것'을 선택할 자유를 주나, 그 선택은 이미 일을 주는 자의 권력에 의해 강요된 것이다. 바틀비는 적극적 소극성으로 그 누구도 갖지 못한 절대적 자유에 도달한다"고 말한다.

 

어쩌면 청년들은 탄핵을 두고 갈린 두 의견이 모두 마음에 들지 않아 아무것도 택하지 않음으로써 자유권을 행사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허나 이는 크나큰 착각이다.

 

저자는 "참여의 거부는 먹고살기 바쁜 대부분의 사람이 이미 열심히 실천하고 있다"며 "관념적 급진성은 실천적 보수성으로 이어지기 마련, '사이비 저항'의 양파를 까고 또 까면 그 끝에서 바틀비의 사도들은 그저 '무(無)'를 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는 "독일의 철학자 페터 슬로터다이크의 말대로 냉소의 시대에 철학은 장바닥으로 내려와 무례함과 뻔뻔함을 가지고 냉소를 냉소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68쪽. 1만4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