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건/사고

[현장] 동짓날 지나도 행진 못한 트랙터, 밤새 시민들이 지켰다

전농 21일 오전 9시 수원 출발
12시 남태령고개 도착 후 경찰 차벽에 가로막혀
경찰 "도로혼잡 야기해 제한" 전농 "부당한 통고"
광화문 탄핵 촉구 집회 참가자 등 모이며 대규모 집회 현장으로 변해

남태령고개에서 경찰버스에 멈춰선 전국농민총연맹(전농)의 트랙터. 인도까지 경찰이 빽빽히 서서 길을 막고 있다. /김서현기자

정부에 대항하는 응원봉이 동짓날 가장 긴 밤 공권력 앞에서 빛났다. 그러나 공권력의 벽은 견고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이 윤석열 대통령 처벌을 촉구하며 '트랙터 상경 투쟁'에 나섰지만, 경찰 버스가 그 길을 막아섰다. 나아가려는 자와 막으려는 자가 엄동설한에 첨예하게 대치했다.

 

22일 새벽 3시 현재 남태령고개 인근 과천대로에서 경찰이 전농의 서울 진입을 막아서면서 시작된 대치가 14시간을 넘겼다. 일대는 전날 서울 광화문과 안국역 일대에서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참가했던 일반 시민들까지 소식을 듣고 모여들면서 수천 명 규모의 집회 현장으로 변모했다.

 

전농 관계자는 "예상치 못했으나 시민들이 모여들며 처음 인원 대비 2배 이상 늘어 임의로 집회를 마무리하기 어려운 상황인 만큼 전반적으로 살펴 농성 지속 여부를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서울경찰청은 전농 트랙터 행진이 극심한 교통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며 '제한 통고'를 내렸다. 전농은 여기에 맞서 20일 성명을 내고 "우리는 경찰들이 어떠한 법적 근거도 없이 제멋대로 보내온 제한통고를 결코 인정할 수 없다"며 시위를 이어가겠다 밝혔다.

 

전농은 트랙터 35대와 화물차 60여 대를 끌고 전날 오전 9시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출발해 12시경 과천대로에 입성했으나 경찰이 남태령고개에 경찰버스 2대와 경찰인력을 이용해 차벽을 세우면서 대치가 시작됐다. 전농은 앞서 ▲남태령→동작대교→용산관저 ▲석수역→여의도→정부서울청사 2개 경로 중 하나를 이용한 행진시위를 하겠다고 정식으로 신고, 접수했다.

 

21일 1시경 대치 과정 중 경찰 차벽을 열기 위해 트랙터 1대가 진입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유리창이 파손 됐으며 3대가 서울 진입에 성공했다. 다만 진입에 성공한 트랙터 3대는 용산으로 향하던 중 반포·한남대교에서 멈춰 오후 4시경 서초 부근으로 돌아온 상태다.

 

시민발언대 앞에서 가요에 맞춰 구호를 외치는 사람들의 모습. 최근 탄핵 촉구 집회에서 보이는 응원봉들이 여기저기서 보이고 있다. /김서현 기자

 

 

현장은 SNS를 중심으로 오후 8시경 SNS와 유튜브 실시간방송 등을 통해 경찰이 부상자를 방치하고 있다는 목격담이 퍼지며 급격히 인파가 늘었다. 확인되지 않은 인물이 시위 도중 저체온증으로 쓰러졌으나 경찰이 방치하고 구급차를 막았다는 주장이다. 오후 6시 무렵부터 광화문 일대 시위를 마친 시민들이 모여든 상황에서 목격담이 퍼진 후 사람이 다시 한번 크게 불어났다. 특히 2030대 여성들이 많이 모였고, 뒤를 이어 4050대 남성들이 많았다.

 

앞서 광화문에서 탄핵 촉구 시위에 참석한 뒤 친구들과 도착했다는 김유진(35)씨는 "이미 밖에서 시간을 보낸지 12시간이 한참 넘었고 추워서 얼굴이 아프다"면서도 "불합리한 상황에 저항하려고 시위에 나간 만큼 또 다른 곳에서 일어나는 불합리한 상황을 모른 척 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급격히 시민들이 모여들면서 현장은 대규모 집회현장으로 변모해 응원봉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고 시민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마지원씨(덕성여대 사학과)는 시민발언에서 "신상정보를 밝힌 이유는 농민들과의 시위가 자랑스럽기 때문"이라며 "뒤에 방패를 든 경찰들은 집에 가서 떳떳하게 말할 수 있는가? 과연 내란공범이 됐다고 말할 수 있는가?"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밤샘 시위가 이어지면서 현장에 참가하지 못한 무명의 사람들이 보내는 후원물품도 속속 도착했다. 커피, 차, 음료수와 같은 마실거리부터 닭죽, 핫팩 등 건강을 염려한 후원품목까지 다양하게 모였다. 또 한 시민은 자발적으로 버스를 대절해 현장을 지키는 사람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도 했다.

 

일부 시민은 앞서 현장에 사람이 모이기 시작하자 경찰이 시위 참가를 막기 위해 부적절한 언행을 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A씨는 "갑자기 신분증을 요구받았다는 사람도 있고, 지난주만 해도 멀쩡했던 응원봉으로 정치적 시위를 하면 연행될 수 있다며 겁을 주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