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내년 전국 23만7582세대 입주...전년比 22%↓

2025년 주요 입주단지 현황. /직방

오는 2025년 아파트 입주물량이 2021년 이후 가장 적을 전망이다. 대출규제 등 시장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부동산시장 분위기도 냉랭하다.

 

23일 직방 조사에 따르면 2025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3만7582세대로 올해(30만 4213세대)보다 22% 감소한다. 2021년(23만6622세대)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은 11만900세대, 지방에서는 12만6682세대가 입주하며 각각 27%, 17% 감소한다.

 

수도권은 서울만 입주물량이 증가한다. 서울은 3만1334세대로 2024년(2만3507세대) 대비 33% 많다. 정비사업이 완료된 대규모 단지 위주로 입주가 진행되며 입주물량이 늘어난다.

 

▲동대문구 9522세대 ▲서초구 3307세대 ▲송파구 3054세대 ▲성북구 2840세대 ▲성동구 2707세대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총 36개 단지가 입주하고 이 중 대규모 단지(1000세대 이상)는 9개 단지다.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을 재개발한 '이문아이파크자이'가 가장 큰 규모(4321세대)로 11월에 입주한다.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3307세대는 6월, 송파구 잠실동 '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12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경기(5만7475세대)는 42% 감소한다. 화성, 오산, 파주 등 택지지구 위주로 입주가 이어질 예정이다.

 

▲평택 9368세대 ▲광명 9346세대 ▲화성 6617세대 ▲파주 4945세대 ▲오산 3876세대 등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올해 입주물량이 많았던 지역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이어질 예정이다.

 

평택시 화양동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 1468세대가 8월, 장당동 '평택석정공원화성파크드림' 1296세대가 7월 입주한다. 광명은 철산8·9단지를 재건축한 '철산자이더헤리티지' 3804세대가 5월, 광명제1R구역을 재개발한 '광명자이더샵포레나' 3585세대가 12월께 입주한다.

 

인천(2만2091세대)은 28% 감소한다. 검단신도시, 송도 등지에서 총 31개 단지가 입주한다.

 

권역별 아파트 입주물량 전년 비교. /직방

지방은 입주물량이 많았던 부산, 대구의 경우 입주물량이 감소하는 한편 충청권, 경남 등지의 입주물량이 증가한다.

 

▲경남 1만 9237세대 ▲충북 1만 4810세대 ▲충남 1만 2710세대 ▲부산 1만 2101세대 ▲경북 1만 1595세대 ▲대구 1만 1134세대 등이다. 총 194개 단지가 입주를 앞두고 있고 이 중 30개 단지가 1000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다.

 

경남 김해시 신문동 '김해율하더스카이시티제니스&프라우'가 3764세대로 가장 큰 규모다. 2월 입주를 시작한다. 대전에서는 서구 용문동 '둔산더샵엘리프' 2763세대가 2월 입주 예정이다. 충북 '진천교성지구풍림아이원프리니움' 2450세대는 3월에 입주를 앞두고 있다.

 

대출규제 여파와 정국 혼란 등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고조되며 아파트 거래 시장의 분위기가 싸늘하다. 당분간 입주시장의 분위기도 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수도권은 2025년 하반기(공고문 상 입주예정월 기준) 이후 후취담보를 조건으로 한 신축분양 미등기 아파트에 대한 기금대출이 제한되는 리스크가 있다"며 "입주를 앞둔 수분양자의 고심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