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2024년 'K푸드+ 수출' 역대 최대 130억불...미국시장, 중국·일본 제치고 3위→1위

농식품부 "불리한 대내외 여건 속 6%대 성장"

지난해 9월 홍콩에서 열린 K-신선식품박람회의 모습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지난해 'K푸드+'수출이 역대 최대 규모인 130억 달러를 넘어섰다. 라면, 쌀가공식품, 김치 등의 품목이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K푸드+란 농식품에 전후방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용의약품 등)을 더한 개념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도 K푸드+ 수출액이 전년대비 6.1% 증가한 130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중 농식품 수출액이 99억8000만 달러, 전후방산업이 30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 수출은 전년에 비해 9.0% 늘어났다. 이는 최근 3년간 수출 성장률의 3배에 가까운 증가율이다. 농식품 수출은 지난 2015년 이후 9년 연속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중동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2023년 농식품 최대 수출시장이던 일본 엔화의 약세,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등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6.1%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인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품목별로는 라면·쌀가공식품 등 가공식품이 역대 최대 실적으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신선식품 중에는 김치가 1억6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농식품 수출 1위 품목인 라면은 드라마·영화 등 K-콘텐츠에 자주 노출되고, 라면먹기 챌린지가 유행하면서 수출 대상지별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텍사스주 내 대형유통매장 입점에 성공하면서 수출이 70% 넘게 늘었다. 가장 높은 성장세(+38.4%)를 보인 쌀가공식품은 3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했는데(+51.0%), 글루텐프리 건강식 및 간편식 등이 선호도가 높았다.

 

김치는 1억6000만 달러 수출되며 역대 최대 실적인 2021년의 1억5000만 달러를 3년 만에 넘어섰다. 미국과 네덜란드 등 신규 시장에 비건김치, 상온유통김치 등 신제품을 소개하고 입점매장을 확대한 것이 증가(+5.2%) 요인을 작용했다.

 

농식품 수출을 권역별로 보면 미국을 비롯해 중국,아세안, 유럽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출이 늘어났다. ▲냉동김밥 성장을 주도한 미국 ▲건강식 관심이 높은 유럽 ▲라면 수요가 증가한 중남미 등지에서 2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수출액 1위 대상지는 미국(15억9000만 달러), 2위는 중국(15억1000만 달러), 3위는 일본(13억7000만 달러)이었다.

 

미국은 2023년 3위 시장에서 2024년 1위 시장에 올라섰다. 과자류, 라면, 냉동김밥 등이 사회누리망(SNS)에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얻은 동시에, 현지 스포츠 행사(야구·골프대회 등) 및 대학과 연계한 K-푸드 체험 기회를 통해 인지도가 더욱 높아졌다. 아울러, 현지 대형유통매장(코스트코 등) 및 소매점(파이브빌로우 등) 입점이 확대되면서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농식품부는 분석했다.

 

전후방산업 분야는 수출액 비중이 큰 농기계와 스마트팜 수출이 줄어든 반면, 반려동물사료(펫푸드), 동물용의약품, 농약 등 유망품목의 수출은 증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