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비대면금융 경쟁…은행, 플랫폼·AI 강화

5대은행 무형자산 현황/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

지난해 국내 주요 은행들이 디지털, 플랫폼 등 전산투자에 1조5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로 자금이체, 대출 등 금융업무를 하는 고객이 늘면서 디지털 전환에 힘을 싣고 있는 모양새다.

 

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은행의 컴퓨터소프트웨어·시스템 개발비 관련 무형자산 규모는 지난해 3분기(7~9월)말 기준 1조5579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1조3091억원)과 비교하면 19% 증가한 수준이다.

 

무형자산이란 기업이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실체가 없는 자산으로, 브랜드가치(상표권), 기술력, 인적자원 등을 말한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컴퓨터소프트웨어·시스템개발 무형자산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4951억원으로 1년전(2883억원)보다 71.7% 증가했다.

 

하나은행은 2023년 3분기 말 2516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3416억원으로 컴퓨터소프트웨어·시스템개발 무형자산이 35.8% 늘었다. 우리은행은 같은기간 1412억원에서 1771억원으로 25.4% 증가했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3분기 3134억원으로 1년전(3112억원)과 비교해 0.7% 늘었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3분기 2308억원으로 같은 기간 27.2% 줄었다.

 

시중은행들이 컴퓨터소프트웨어·시스템 개발비 관련 무형자산을 늘리고 있는 이유는 비대면 금융을 이용하는 고객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은행이 이용하기 쉬운 금융서비스를 내놓으면서 고객층을 넓히자 시중은행들도 디지털 전환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시중은행들은 올해 컴퓨터소프트웨어·시스템 개발비 관련 자산규모를 더 확대할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위원회에서 은행 내·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망분리 규제를 완화하고, 생성형 인공지능(AI) 도입을 독려하고 있다"며 "생성형 AI를 통해 고객을 위한 서비스가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국민은행은 기존 금융AI센터를 1·2센터로 확대 개편하고, 각 센터장에 LG와 엔씨소프트 출신 인사를 선임했다.

 

신한은행은 플랫폼 사업을 총괄하는 디지털이노베이션(영업추진4)그룹을 신설했다.

 

하나은행은 디지털 전략 기능과 신사업 추진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AI·디지털그룹을 '디지털혁신그룹'으로 확대 개편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전에는 직원들의 업무를 덜어주는 AI를 개발했다면, 앞으로는 고객의 편의성을 위한 AI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것"이라며 "IT 관련 인력과 예산은 늘고 있지만, 다른 기업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인 만큼 관련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