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유별난 명품 사랑이 불러온 배짱 영업

한국인의 명품 사랑은 유별나다. 과자나 라면이 몇 백원 오르는 것에는 인색하면서 명품은 가격이 올라도 줄을 서서 구매하니 말이다.

 

명품업계가 국내에서 배짱 영업을 할 수 있는 것도 한국인의 명품 사랑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 아닐까.

 

에르메스, 샤넬 등 주요 명품 브랜드가 연초부터 가격 인상에 나섰다.

 

에르메스는 지난 3일부터 가방, 의류, 장신구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10% 가량 인상했다. 가방은 평균 10% 인상이 적용됐으며 쥬얼리의 경우 금값 상승 영향을 반영해 더 높은 인상률이 적용됐다.

 

샤넬은 지난 9일 일부 플랩백 제품에 대해 평균 2.5% 가량 가격을 올렸다. 미디움 사이즈는 기존 900만원에서 931만원으로 약 1.4% 인상됐고, 라지 사이즈는 983만원에서 1017만원으로 약 3.5% 올랐다. 또 다른 브랜드 고야드도 일부 제품에 한해 가격을 6% 인상했으며, 루이비통, 구찌, 프라다 등 주요 브랜드도 가격을 인상할 전망이다.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 인상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1년에도 수차례씩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그때마다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인건비, 환율 변동 등을 이유로 댔다.

 

가격을 올린다고 소비자들이 외면하는가? 전혀 아니다. 가공식품이나 생활필수품이 고작 몇백원 올리는 것에는 지갑을 닫지만, 명품에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명품은 오늘이 가장 싸다'라며 오픈런을 불사하고 매장으로 달려간다. 가격을 끊임없이 올려도 사려는 소비자가 줄을 서는데 명품 브랜드가 가격을 올리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옆나라인 중국은 자국 내 소비를 지향하는 '궈차오(國潮)'열풍이 불면서 명품에 대한 애정이 식은 분위기다. 때문에 오히려 명품 브랜드들이 매출 감소와 과잉 재고 해결을 위해 대규모 할인 행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유독 한국에서만 잦은 인상을 하고 고자세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이럴 때일수록 명품 소비를 자제하는 방식으로 업계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어떨까.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스마트컨슈머가 되길 기대해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