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천정부지 치솟는 먹거리 물가 걱정…점심 가성비 경쟁 갈수록 치열

스타벅스가 지난달 아메리카노를 비롯한 커피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다./스타벅스 코리아

최근 주요 커피·외식 프랜차이즈들이 가격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정부의 공백기를 틈타 식품업계의 도미노 가격 인상이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 할리스, 폴바셋 등 커피 프랜차이즈들은 설 연휴 전인 지난달 24일부터 가격을 200~400원 인상했다.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이 크게게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앞서 동서식품도 지난해 11월 인스턴트 커피와 커피 음료 등 출고 가격을 평균 8.9% 인상한 바 있다.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도 PB 커피 판매가격을 100원씩 인상했다.

 

햄버거 외식 브랜드인 버거킹은 일부 제품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다. 버거킹의 대표 메뉴 와퍼는 7100원에서 7200원으로, 갈릭불고기와퍼는 7400원에서 7500원으로 조정했다.

 

가격 인상은 식음료 전방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광동제약은 이달 1일부터 옥수수수염차와 진한헛개차 편의점 판매 가격을 10% 인상했다. 오뚜기도 컵밥 7종의 편의점 판매 가격을 기존 4800원에서 5400원으로 12.5% 인상했다.

 

앞서 동아오츠카는 포카리스웨트 등 음료 가격을 평균 6.3%씩 올렸고, 대상은 지난달 16일부터 청정원 마요네즈, 드레싱 등 소스류 제품과 후추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기업들은 국내외 경영 불안정성이 지속되면서 원자재 가격이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은다. 내수절벽에 고환율이 장기화될 경우 수익성이 악화할할 수 있어 할인 프로모션도 축소하는 분위기다.

 

서울 시내 한 식당 입구에 메뉴가 표시돼 있다. /뉴시스

외식물가도 상승세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외식 메뉴 가격은 사상 최고 수준을 경신하고 있다. 서울지역 짜장면 가격은 7423원으로 10년 전에 비해 6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겹살은 지난해 5월 서울 기준으로 처음 2만원 시대를 열었다. 삼계탕도 지난해 7월 1만7000원을 넘어선데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냉면 가격이 1만2000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소비자 선호 8개 외식 메뉴의 서울 기준 평균 가격 상승률은 약 4.6% 수준이다.

 

런치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식비 부담이 커지자 외식업계는 가성비 메뉴를 출시하며 점심 수요 공략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3월 이랜드리테일이 킴스클럽 내에 선보인 즉석조리식품 브랜드 '델리 바이 애슐리'가 대표적이다. 델리 바이 애슐리는 1개당 3990원이라는 파격가에 상품을 내놓으며 약 10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300만 개를 돌파했다.

 

파격적인 가격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도 장점이다. 델리 바이 애슐리 메뉴는 200여 종의 즉석조리식품으로 구성돼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시하고 있다.

 

KFC는 최근 텐더를 활용한 한 끼 메뉴 '켄치밥' 2종을 4000원대에 출시했다. '갓양념 켄치밥'과 '데리야끼 켄치밥' 두 가지 맛으로 출시됐다. 단품 외에도 콤보(단품+콜라)와 세트(단품+콜라+코울슬로) 구성도 선보여 가성비 점심 메뉴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앞서 지난해 10월 오리지널 치킨을 버거로 재해석한 '커넬 버거' 2종은 3000~4000원대에 출시해 한 달 만에 누적 판매량 30만개를 돌파하기도 했다.

 

한솥도시락도 가성비 도시락 3종을 출시했다. 덮밥류 1종(데미 미트볼 덮밥)과 파스타 2종(햄버그 나폴리탄 파스타, 소불고기 청양 크림 파스타)으로 4000~6000원대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먹거리 물가 상승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될 경우 내수 부진 장기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소비자들이 이가격에 민감해진만큼 가성비가 제품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