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의 와이 와인]<271>와인시장 바닥은 어디…화이트 와인만 선전

<271>2024년 수입주류 통계

 

안상미 기자

와인업계에 곡소리가 난다지만 작년에도 잘 팔린 와인이 있다. 화이트 와인이 늘었는데 속을 들여다보니 뉴질랜드 와인이었다. 유럽이나 미국, 칠레 와인에 비해 기존 수입 물량이 적다는 점을 감안해도 증가율 77%(물량 기준)는 분명 눈여겨 볼만한 수치다. 호주 와인을 이미 앞질렀고, 금액 기준으로는 스페인 와인보다도 많이 팔렸다.

 

다만 와인 시장 전체로는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사실 와인 뿐만이 아니라 주류업계가 다같이 울상이다. 하이볼을 등에 업고 살아나는 듯했던 위스키의 인기는 시들해졌고, 수입맥주는 완전히 내리막길로 접어든 모양새다.

 

2015년 이후 국내 와인 수입량 및 수입금액. 단위: 1,000USD, 1,000Liter /한국주류수입협회

한국주류수입협회에 따르면 2024년 와인 수입 규모는 4억6208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8.7% 감소하면서 5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 수입된 와인은 5203만 리터로 물량 기준으로도 전년 대비 8% 줄었다.

 

와인시장은 팬데믹으로 열풍이 불었던 2021~2022년을 정점으로 엔데믹과 함께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기준으로 2020년과 2021년에는 각각 27%, 69.6%로 급증했지만 2022년 3.8%로 주춤하더니 2023년 -12.9%, 2024년 -8.7%로 감소세가 굳어졌다. 물량 기준으로는 이미 2021년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실 주종을 불문하고 수입 주류 대부분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

 

지난 2023년 수입량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위스키는 작년 2744만 리터로 전년 대비 10.3% 줄었다. 상반기 반짝 유행하던 데킬라도 연간으로 보면 물량이 4.5% 감소했고, 수입 주류 가운데서는 사케 정도가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업계 관계자는 "주종을 불문하고 전체적으로 업장 쪽에서 타격이 워낙 컸다"며 "일부 소비가 된다고 해도 가정용으로 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팔리는 정도며, 2030 젊은 층에서 데킬라가 인기를 끌었다고는 하지만 절대적인 규모 자체가 작다"고 설명했다.

 

와인 수입이 줄었기는 한데 와인이나 국가별로 보면 눈길을 끄는 부분이 있다.

 

레드 와인은 수입규모 기준으로 13.3% 감소한 반면 화이트 와인은 8.4%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주요 생산지 가운데 유일하게 뉴질랜드 와인의 수입이 늘었다. 수입 금액으로 보면 전년 대비 55%나 늘어 스페인과 비슷한 위치에 서게 됐다.

 

종합해보면 뉴질랜드 화이트 와인의 선전이 전체 와인 시장의 급격한 침체를 막아낸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젊은 층, 그리고 여성들을 중심으로 레드 와인 대비 상대적으로 알코올 도수가 낮고 산뜻하게 즐길 수 있는 화이트 와인을 선호했고, 소비뇽 블랑이라는 대표 품종으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던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올해 와인 시장의 전망도 밝지 않다. 경기는 나아질 기미가 없고, 정치적 불확실성과 환율 급등까지 겹치면서다.

 

업계 관계자는 "환율이 예상 범위보다 벗어날 정도로 급등하면서 앉아서 수십억씩 손해를 봤다는 수입사들도 나오고 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새로운 제품군을 선보이는 것은 생각도 못하고 보수적으로 경영 계획을 잡고 있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