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디지털 시대'와 '세대 역차별'

주변에서 키오스크가 흔해졌다. 10년 전 프랜차이즈 음식점, 카페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키오스크가 동네 식당까지 차지했다. 키오스크 이용이 어려운 세대는 타인의 도움 없이는 주문조차 어렵다. 바뀐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 게 잘못인 양, 누군가에게 죄송하다며 도움을 청하는 처지가 됐다.

 

세대 소외는 서비스업에만 국한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각종 소비에서도 누군가의 비용을 덜어내기 위해 반대쪽에서 더 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디지털 네이티브(어려서부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세대)는 각종 소비활동에서 기업이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영화관과 편의점에는 통신사가, 카페와 식당에서는 각종 카드사가 수십 퍼센트(%)에 달하는 할인을 제공한다.

 

물건에 제값을 치르는 일이 줄어 들자 기본 가격이 올랐다. 10년 전에는 한 장에 8000원 남짓이었던 영화 관람권은 어느새 2배 가까이 비싸졌고, 카페의 음료 가격도 올랐다. 각종 할인을 동원하고 나면 예전과 엇비슷한 가격이 된다. 어떤 세대에게는 상승한 물가가 와닿겠지만,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세대에게는 절차만 조금 번거로워졌을 뿐이다. 비용이 한쪽에 몰리고 있다.

 

가장 공평해야 할 금융 거래에서도 역차별이 있다. 은행권에 내놓는 각종 특판 상품은 '비대면 전용'이란 꼬리표를 달고 나온다. 입출금 계좌도 은행 점포가 아닌 모바일 앱에서 개설해야만 우대금리가 붙는다. 각종 대출조차 모바일, 인터넷 전용 상품의 이자가 더 낮게 책정된다.

 

역차별을 정당화하는 금융권의 논리는 '비용'이다. 비용 효율화를 위해 비대면 금융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금리 경쟁력을 끌어 올리면 소비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디지털 네이티브'가 혜택을 누리는 동안, 점포가 사라진 자리에서는 ATM만 덩그러니 남아 노인들을 기다린다. 노인들은 스마트폰으로 몇 분 만에 처리할 수 있는 금융 거래를 위해 남아 있는 은행 점포를 찾는다.

 

어떤 이들은 노인들이 변화한 세상에 적응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지적한다. 하지만 지자체, 복지시설, 은행 등이 실시하는 '시니어 금융 교육'은 언제나 만원이다. 모집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자녀, 손주 세대에게 '티켓팅'을 부탁했다는 무용담도 흔하다. 노인들이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단지 세상이 너무 빨리 바뀌었을 뿐이다. 부모, 조부모 세대가 더는 소외되지 않도록 돕는 것은 이제 젊은 세대의 몫이 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