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그건 심리학적으로 맞지 않습니다만

최승원 지음/책사람집

 

인생을 살다 보면 다채롭게 이상한 사람들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개중 필자가 가장 희한하게 여기는 부류는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하층민이다. "퍼주기만 하면 게을러진다"며 "복지 정책을 축소해야 한다"고 외치는 극우 성향 정치인의 주장에 쌍수 들고 환영하는 경제적 약자들이 대표적인 예다. 복지 혜택 증대로 이득 보는 이들이 복지 정책을 혐오하는 기현상.

 

최근 '그건 심리학적으로 맞지 않습니다만'이라는 제목의 책을 읽다가 우리 사회 소외계층이 왜 기득권의 편을 드는지 깨닫게 됐다. 심리학자인 저자는 세상의 소란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중심을 잡고 싶어하는 독자들에게 심리학을 '의심의 도구'로 사용할 것을 권한다.

 

책에서 저자는 "인간은 평생 자기 두뇌의 10%도 채 쓰지 못하고 죽는다", "마시멜로 실험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 만족 지연이 성공을 보장한다" 등 대중 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퍼진 오해들을 바로잡는다. 또 저자는 TV 홈쇼핑을 보면 충동구매를 하고, 위험성이 높은 주식에 투자하는 등의 인간의 비합리적인 행태도 분석한다.

 

책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건 '왜 가난한 사람들이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했는지'에 대한 설명이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캘리포니아, 워싱턴 D.C., 뉴욕 등 산업화된 대도시에선 바이든이 선거인단을 획득한 반면, 미국의 '깡촌'이라 불리는 중부 대부분 지역에서는 트럼프가 승리했다. 사회적 계급이 낮은 사람들은 어째서 자신의 정체성에 반하는 보수 정당에 투표하는 것인가.

 

책에 따르면, '계급 배반 투표'는 자신의 계급에 대한 왜곡된 지각에서 비롯된다. 자신의 계급에 대한 부풀려진 인식이 자기보다 높은 수준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자신의 입장을 동일시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본인이 소유한 주택이 종합부동산세의 기준에 현저하게 못 미침에도 이 세금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소득 수준에 걸맞지 않은 명품에 특별소비세를 매기면 분노하는 서민에게서 이런 모습들이 관찰된다고.

 

자신의 이익에 위배되는 정치 세력을 지지하는 현상은 '시스템 정당화 이론'으로도 설명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불안이 높고 자존감이 낮은 저소득 계층에서 자신이 사는 세상의 질서나 지배 체계가 정당한 것이라고 믿고 싶어 하는 경향이 흔히 나타난다는 것인데,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위기의 순간 모래에 얼굴을 파묻는 타조보단 나은 삶을 살아야 하지 않겠는가. 232쪽. 1만68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