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울산과학기술원 연구팀, 유기 배터리 전극 용출 원인 규명

전해질 내 양이온 종류별 전극의 성능과 공삽입 차이. 이미지/UNIST

유기 배터리 전극이 전해질 속으로 녹아 나오는 현상의 원인이 규명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원진 교수팀은 한양대학교 기계공학과 최준명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전해질 안에서 일어나는 용매와 양이온 간 강한 상호 작용이 유기 배터리 전극의 용출 현상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유기 배터리는 상용 배터리의 리튬, 니켈과 같은 금속 전극을 값싸고 공장에서 무한대로 찍어낼 수 있는 유기물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하지만 배터리 전극이 전해질 속으로 녹아 나오는 용출 현상이 심해 전지 수명이 짧다는 점이 상용화의 큰 걸림돌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보고됐으나, 정작 용출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용매와 양이온 간 강한 상호 작용은 공삽입(Co-intercalation)을 일으킨다. 전해질은 액체 용매에 음이온과 양이온이 녹아 있는 형태인데, 양이온이 전극 내부 미세 구조로 들어갈 때 용매 분자까지 딸려 들어가는 현상이 공삽입이다.

 

용매가 딸려 들어가면 전극 소재 내부의 미세 구조가 벌어지면서 전극 물질이 쉽게 흘러나오게 된다. 상호 작용이 약한 경우에는 양이온만 전극으로 들어가는 정상 삽입이 이뤄진다.

 

연구팀은 양이온의 종류를 바꿔가며 실험한 결과와 용매와 양이온 간 상호 작용 에너지를 이론 계산한 결과를 비교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규명했다.

 

리튬, 나트륨, 칼륨 이온으로 바꿔가며 실험한 결과, 리튬 이온을 쓴 경우 전극 두께가 가장 얇아졌으며, 양이온과 용매 분자 간 상호 작용 에너지도 가장 컸다.

 

제1 저자인 이현욱 연구원은 "기존 유기 전극 관련 연구는 주로 전극 물질이나 구조 변화 등을 통해 용출 현상을 해결하려는데 집중해 왔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용출의 근본적 원인을 규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곽원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전극 물질 용출이 단순히 용해도만이 아닌 전해질 내 상호 작용과 그에 따른 메커니즘 변화에 기인함을 최초로 확인하고 구체적인 전해질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 나노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에이씨에스 나노 (ACS Nano)에 1월 14일 자로 출판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나노 및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