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경기도 김동연 지사, 여주 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비전 선포

26일 오전 여주 SKB위성센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후경제 비전 발표를 하고 있다.(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여주 위성센터에서 기후경제 비전을 선포하며, 기후위기를 경제 위기로 보고 강력한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기후위기는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라고 진단하며, 한국은행의 분석을 인용하여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할 경우 매년 성장률이 0.3%포인트씩 하락하고, 2100년까지 GDP가 21% 감소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지사는 또한 대한민국의 기후위기 대응 현황에 대해 "기후 내란 상태"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이 세계적으로 뒤쳐져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퀀텀점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세계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을 경제와 산업의 새로운 기준으로 삼고 치열한 경쟁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도 더 이상 뒤쳐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기후경제 비전 발표

 

김 지사는 기후경제를 대한민국 경제의 새 이정표로 삼고, 이를 위한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첫 번째 전략은 기후산업에 최소 400조 원 이상 투자하는 것이다. 김 지사는 국민 클라우드펀딩 방식으로 기후펀드 100조 원을 조성하고, 기후채권 발행과 공공금융기관 출자로 100조 원을 추가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기후보증 100조 원을 마련하여 기후산업 기업의 지원을 강화하고, 민자유치로 신재생에너지 전력망 구축을 촉진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다.

 

두 번째 전략은 석탄발전소의 전면 폐지이다. 김 지사는 석탄발전소가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장애물이 된다고 경고하며, 2040년까지 석탄발전소를 전면 폐지할 것을 주장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늘리고, 에너지저장시스템과 수소연료전지 등 혁신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 번째 전략은 기후경제부 신설로 강력한 기후경제 콘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이다. 김 지사는 기후경제의 실천을 위한 거버넌스 수립과 함께, '기후투자공사' 설립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에 투자하고, 녹색금융 활성화와 RE100 기업 및 기후테크 산업 육성을 촉진하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기후복지법 제정을 통해 기후격차를 해소하는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 사례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에서 이미 중요한 진전을 이룬 사례들을 소개했다. 경기도는 일상생활에서 탄소 감축 활동을 실천한 시민들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전용 앱 '기후행동 기회소득'을 출시했으며, 출시 8개월 만에 가입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또한, 전 도민 기후보험 가입을 통한 포용적 기후복지를 실현하고, 지방정부 최초로 기후위성과 기후플랫폼을 구축하여 과학적 기후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김 지사는 "경기도의 길이 대한민국의 길이 될 것"이라며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의 모델이 될 것임을 확신했다.

 

■기후경제와 우주 산업의 융합

 

행사 후 김 지사는 한화시스템, 루미르, 레인버드 지오 등 기후테크 기업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들과 기후경제 및 위성 기술을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기후위성에 대한 높은 기대를 표하며, 경기도가 중앙정부가 하지 못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뿐만 아니라 기후위성은 세계적인 솔루션이 되어 많은 지자체에 적용될 것"이라고 말하며, 기후경제 대전환을 위한 경기도의 노력이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번 기후경제 비전 선포는 대한민국의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 전환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