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SK하이닉스, 미국 매출 2배 이상 증가…"HBM 효과 톡톡"

SK하이닉스, AI 훈풍에 美 매출 33.5조

SK하이닉스 CI./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2024년 미국 시장 매출이 2.6배 늘었다. 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의 확대로 AI용 핵심 부품으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급증한 결과다.

 

4일 SK하이닉스 공시에 따르면 미국 판매법인 'SK하이닉스 아메리카(SK hynix America Inc.)'는 2024년 매출 33조4859억원, 순이익 1049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매출(12조5419억원) 대비 약 2.6배(166.8%) 증가한 규모다.

 

미국 판매법인 등 현지에서 올린 매출은 SK하이닉스 연간 매출액(66조1930억원)의 절반을 넘는다.

 

이러한 성장세는 2023년과 2024년 사이 반도체 업황이 상승 추세로 전환한 것과,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DDR5 등 빅테크발 AI 메모리 수요가 확대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힘입어 SK하이닉스는 호실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미 올해 HBM 물량을 '완판'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5세대 HBM인 'HBM3E 12단' 제품에 주력하는 가운데 상반기 중 HBM3E 16단을, 하반기에는 '커스텀(맞춤형)' 제품인 6세대 HBM4 공급을 본격화한다는 목표다.

 

SK하이닉스는 고객사들의 수요 역시 늘고 있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회사의 HBM 매출은 강한 고객 수요를 기반으로 전년 대비 10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된다"며 "올해는 ASIC(에이직) 기반의 HBM 고객 수요도 의미 있게 증가함에 따라 고객 기반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아메리카(미주법인)는 미국 빅테크 대상의 영업·판매활동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회사는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빅테크들과 영업에서 핵심 역할을 해온 류성수 HBM비즈니스 담당(부사장)을 새 미주법인장에 선임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빅테크를 중심으로 한 HBM3E 출하량 확대로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36.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인 삼성전자(39.3%)를 턱밑까지 추격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매출 66조1930억원, 영업이익 23조4673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작년 4분기 HBM은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