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봄을 만끽할 완벽한 패밀리카,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르노코리아 '뉴 르노 그랑 콜레오스' 주행 모습.

변덕스러운 꽃샘추위가 가시고 포근한 봄이 찾아오면서 나들이에 나서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가족 단위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자동차 시장에도 공간성과 안전성을 갖춘 패밀리 SUV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특히 르노코리아의 야심작 '그랑 콜레오스'는 출시된지 반년 쯤 되었지만 운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이어지면서 '대세 패밀리카'로 급부상하고 있다. 그랑 클레오스는 르노코리아의 역대 신차 중 가장 빠르게 누적 판매 1만대를 돌파했다. 또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AWAK)와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등에서 '2025 올해의 SUV'로 선정되며 안전성과 기술력 등을 입증하며 대세모델로 자리매김했다.

 

그랑 콜레오스는 길이 4780㎜, 폭 1880㎜, 높이 1680㎜의 큰 차체와 동급 차량 중 가장 긴 휠 베이스(2820㎜)로 동급 최고 수준의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2열 시트를 접으면 최대 2034L의 트렁크 공간을 제공한다. 또 첨단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저감 기술을 적용하고, 차량 전반에 흡차음재를 활용해 고급 세단 못지 않은 정숙한 실내 공간을 구현했다.

 

'대세 패밀리카'답게 탄탄한 기본기도 갖추고 있다. 그랑 콜레오스 E-Tech 하이브리드는 동급 최고 수준인 245마력의 시스템 출력과 15.7km/L의 공인 복합연비로 뛰어난 주행 성능을 자랑한다. 100Kw 구동 전기 모터와 60kW 고전압 시동 모터로 이루어진 듀얼 모터 시스템에 동급 최고 용량의 1.64kWh 배터리를 탑재해 도심 구간에서 최대 75%까지 전기 모드로 주행할 수 있다.

 

르노코리아 뉴 르노 그랑콜레오스 실내.

일반 내연기관인 2.0 가솔린 터보는 최고 출력 211마력을 뽑아내고 최대 토크 33.2㎏·m/2000~4500rpm에서 발휘할 줄 아는 SUV다. 복합연비는 11.1㎞/L다. 동급 차량 중 유일하게 저공해차 3종 인증을 받아, 전국 공영주차장에서 요금 할인 등을 받을 수 있어 여행지에서의 주차비 부담을 덜어준다.

 

패밀리카 선택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안전성도 놓치지 않았다.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검증된 CMA 플랫폼을 기반으로 초고강도 '핫 프레스 포밍(HPF)' 부품을 동급 최대인 18% 비율로 적용했다. 또 포스코와 협력해 차체 및 샤시에 980Mpa 이상의 신소재 '기가 스틸'과 '초고장력강판' 등 고품질 소재를 대거 적용해 자동차 안전도 평가 1등급을 확보했다.

 

여기에 엔트리 트림부터 최대 31개의 최첨단 주행 보조 기능(ADAS) 및 편의 기능을 적용했다. 특히 모든 트림에 '액티브 드라이버 어시스트'를 적용해 2단계 수준의 자율주행을 구현했으며 국내 최초로 ADAS 전용 스트리밍 지도를 지원, 경고 표지판 인식율을 높였다.

 

사고 발생시 현장에서 차량 내 탑승자를 빠르게 구조할 수 있도록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큐레스큐 코드'를 도입했다. 또 긴급 상황시 자동으로 콜센터에 긴급 전화가 연결되는 '충돌 자동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

 

그랑 콜레오스는 뛰어난 연비와 쾌적한 실내 공간, 높은 안전성을 두루 갖춘 패밀리카 SUV로 아빠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새로운 시작이자 여행의 계절 봄, 가족과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을 더욱 특별하게 해줄 패밀리카를 찾고 있다면 르노코리아의 그랑 콜레오스를 추천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