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보기술(IT) 분야의 기사들을 탐독하다가 당혹스러운 일을 겪었다. "정말 잘 썼다"라고 감탄했던 기사 중 상당수가 생성형 AI가 쓴 것이었다. '기자 구독'을 위해 기사 말미로 스크롤을 내리면 어김없이 챗GPT, 클로드 3.5 소네트와 같은 생성형 AI들의 이름이 등장했다.
비슷한 사건이 하나 더 있다. 명색이 IT 담당인데 최신 기술을 최대한 활용해봐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중국의 AI 챗봇 '딥시크'에 접속했다. 입력창(프롬프트)에 명령어를 넣은 후 시계방향으로 뱅글뱅글 돌아가는 로딩 아이콘을 멍하니 바라봤다. 큰 기대는 없었다. 과거 생성형 AI가 막 출시됐을 당시 동의어 찾기를 몇번 시도해봤으나 입력한 단어 뒤에 접미사, 조사, 의존명사를 붙인 바보 같은 말들만 내뱉어 창을 닫았던 기억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생태계 확장'과 뜻이 유사한 표현들을 제시해달라고 하면 '생태계적 확장', '생태계의 확장', '생태계 확장의 것'이란 답을 돌려주는 식이었다.
그런데 성능이 낮아 쓸모없던 생성형 AI가 환골탈태했다. 문맥의 뉘앙스를 파악해 '시장 확대', '플랫폼 강화', '연계망 성장', '에코 시스템 다양화' 등 KBS의 '우리말 겨루기' 우승자도 단시간 내 생각해내기 어려운 유사 표현들을 단 몇 초 만에 쏟아냈다.
문득 서울 노량진에 들어선 '무인 곰탕집' 이야기가 떠올랐다. 이곳에 온 손님들은 키오스크에서 음식을 주문한 뒤 각자 알아서 고기가 담긴 그릇에 국물을 넣어 먹는다고. 일자리 시장에서 인간은 기계에 밀려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는 저서 '김상욱의 과학공부'에서 "기계지능이 발전함에 따라 인간 일자리는 줄어들 것"이라며 "기계가 할 수 없는 직업을 찾는 식으로 인간이 얼마나 버틸 수 있겠느냐"고 묻는다. 그는 "아예 생각을 바꿔 기계에 모든 일을 맡기고 인간은 하고 싶은 일만 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라며 "조만간 우리는 기계와 공존하는 방법을 진지하게 찾아야 할 것이다. 생각의 틀을 바꿔야 할 때가 오고 있다"고 말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K-엔비디아' 구상이 그 단초가 되길 바라본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