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피크 코리아 위기]④ 지갑 굳게 닫은 가계 "번 만큼도 쓰지 못했다"

서울 시내의 한 음식점 거리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12월 88.4로 떨어진 후 여전히 100 아래에 머물러 있다. 소비자들이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뉴시스

# 서울 서초구에 사는 정 모씨(50세)는 6년 전부터 계획했던 '새차 구입'을 포기했다. 적금으로 모아둔 4500만원 가량이 있었지만 차를 바꿀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는 "요즘 한 치 앞을 모르겠으니, 유동성을 좀 갖고 있는게 안전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 경기도 용인시에 사는 이 모씨(38세)는 최근 4세 아이의 발레 학원을 중단하고, 한글과 숫자 학습지도 끊었다. 그는 "자영업자인 남편이 힘든 것도 있고, 중고등학교 때 사교육비를 생각하면 지금 지출은 줄여야겠다 생각했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의 지갑이 굳게 닫혔다. 정치적인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대한 불안감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킨 결과다. 특히 가계 소비의 '최후의 보루'로 불리는 교육비 마저 4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서며 경고등을 켰다. 전문가들은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불안정한 국내외 변수들이 해결이 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번 만큼도 쓰지 못했다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얼어붙어버린 각종 소비 지표들은 여전히 봄을 맞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전월 대비 12.3포인트(p) 추락하며, 2008년 10월(-12.6p) 이후 16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수치 만으로는 핼러윈 참사가 발생했던 지난 2022년 11월(86.6) 이후 최저치다.

 

회복도 더딘 상태다. 지난 2월 기준 소비심리지수는 95.2로 1월(91.2)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을 하회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기준선인 100 아래로 내려간 것은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비관적으로 돌아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한 해 소비도 지지부진했다.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지출 증가폭이 이를 따라오지 못하며 '번 만큼 쓰지 못하는'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1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3.5% 늘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던 2020년(-2.3%)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도 1.2%에 그쳐, 2020년(-2.8%)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전체 자동차 구입액은 전년 대비 10.4% 줄며 2021년 이후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작년 4분기에는 전년 대비 29% 급감하며, 2021년 4분기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주류와 담배 지출도 2023년 대비 3% 줄어들며, 실질 가계지출 항목에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금융위기가 닥쳤던 2009년(-5.9%) 이후 15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이다.

 

올해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여신금융협회의 '2025년 1월 카드 승인실적'을 보면 올해 1월 소비 관련 대부분의 업종에서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타격을 받았던 숙박·음식점업은 올해 1월에도 카드 매출이 12조700억원으로 작년 동월 대비 2200억원가량(1.8%) 줄었다.

 

눈에 띄는 항목은 교육서비스업의 카드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5.5% 줄어든 것이다. 교육서비스업의 카드 매출이 줄어든 것은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1월(12.5% 감소) 이후 4년 만이다.

 

◆빚 늘고 불안감 커져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힌데는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 빚' 부담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규제가 심한 제1금융권을 피해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면서 이자 부담은 더욱 커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927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 대비 13조원 증가했다. 2002년 관련 통계를 발표한 이래 최대 규모다. 가계신용에는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신용카드 사용액 등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은행권 대출 규제로 지난해 11월 제2금융권 가계 대출은 전월 대비 3조원 이상 늘어났다.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고물가와 고금리의 이중고로 가계 부담이 늘어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며 "이런 상황에서 경기 전망도 불안하니 월급이 오르거나 장사가 잘 될거란 기대를 하기도 힘들다. 지갑을 열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국내외로 불안정한 정치 상황이 반영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해 말 비상 계엄령 선포 후, 한국 증시는 급락했고 원화는 1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계속되는 탄핵 정국의 어수선함도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졌다.

 

이 교수는 "국내에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결론이 나지 않고 있는데다 외부로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여러 정책 변수들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며 "하루 빨리 어느 쪽으로든 결론이 나고 이 불안감이 사라져야 소비 심리도 여유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