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한은, 지난해 지식서비스 무역 72.6억달러 적자

한은, 우리나라의 지식서비스 무역통계 편제결과 발표

/유토이미지

지난해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무역은 72억6000만 달러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멀티미디어나 정보제공 플랫폼 등의 수출은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제조업체가 외국 회사에 전문 연구개발(R&D) 발주하는 등의 수입이 더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은 1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우리나라의 지식서비스 무역통계 편제 결과를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정보·통신 서비스는 27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IT 개발 및 운영은 11억9000만 달러, 정보제공 및 플랫폼은 15억6000만 달러 증가했다.

 

문화·여가 서비스도 흑자를 기록했다. 문화·여가 서비스는 멀티미디어 제작(4억9000만 달러), 공연 및 전시 관련(3억4000만 달러) 등을 중심으로 8억7000만 달러 늘었다.

 

산업별 지식서비스 수지 수출 수입/한국은행

반면 지식재산권 사용료는 33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재산권(-21억7000만 달러), 저작권(-10억2000만 달러), 기타 지식재산권(-2억4000만 달러)이 모두 적자를 기록한 탓이다.

 

산업재산권은 수출에 비해 우리나라 기업이 해외 기업에 공정 특허 로열티를 지급하면서 R&D 기반 권리를 9억9000만 달러 수입하고, 외국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상표권 사용료를 지급하며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을 11억8000만달러수입해 적자를 기록했다.

 

저작권은 우리나라 영화 작품을 해외에 상영하면서 멀티미디어 저작권을 6억9000만달러 수출했지만, 운영체제 등 외국 소프트웨어(SW)를 들여오면서 컴퓨터 및 모바일 SW에 17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문, 사업서비스도 75억5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제조업체가 외국 회사에 전문 R&D를 발주하면서 수입이 늘어 연구개발이 51억4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고, 우리나라 회사가 외국 로펌에 법률 자문을 의뢰하거나, 해외 소재 투자은행에 인수합병(M&A) 자문을 의뢰해 전문 및 경영으로 29억1000만 달러 적자가 생겼다.

 

한편, 한은은 이번에 2010년부터 2024년 중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무역 현황을 공개하고, 앞으로는 매년 3월 및 9월에 직전 반기의 분기별 자료를 공표한다는 방침이다.

 

한은은 이번 지식서비스 무역통계를 통해 우리나라가 미국, 영국,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세분화된 서비스 무역 통계를 공표하는 국가가 됐다고 강조했다.

 

김성준 국제수지팀 팀장은 "기존 지식재산권 통계와 비교하면 전문·사업서비스 부문이 새롭게 추가된 점이 특징이다"며 "정책적 필요에 맞춰서 새롭게 분류하고 분류 유형을 세분화하고 다양화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