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공연/전시

강병인 '획의 변주, 해체로부터' 초대전

강병인 '획의 변주, 해체로부터' 초대전이 서울 중구 회현동 N2 ARTSPACE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글의 본질 속에서 자음과 모음 마다 써 내려가는 획을 통해 해체와 조합이라는 한글의 근원을 문자회화로 탄생시켰다. 한글의 한자가 나오기 까지 획의 본질을 찾아 나서는 여정이 담겼다.

 

'획의 변주, 해체로부터'라는 전시 주제가 시사하듯 하늘과 땅, 사람으로 해체되어 독립적으로 서 있는 획들은 저마다 제 모습을 찾아 글자가 된다. 춤추고 노래하는 가운데, 해체는 자유임을 외치고 있다.

 

오래도록 묵혀 두었던 먹 속에 깊이 잠든 작가의 생각을 붓으로 깨우는 두드림, 터짐이다. 이렇게 한지, 화선지에 침잠한 획들은 깊이를 잴 수 없는 심연의 세계를 이루며, 어둠과 밝음의 조화, 음양의 세계를 이룬다. 서예가 요구하는 서법, 일필휘지를 고집하면서도 어느새 획들은 문자회화로 건너간다. 강병인만의 시각언어, 새로운 회화 형식으로서의 문자변주를 노래한다.

 

강병인글씨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강병인 작가는 영화 의형제, 드라마 엄마가뿔났다, 대왕세종, 미생 등의 글씨체를 탄생시켰고 참이슬, 화요, 열라면 등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글씨체를 연구해 왔다.

 

자유/한지에 먹, 혼합, 142×151cm, 2025 자유2/ 한지에 먹, 혼합, 151×142cm, 2025

그는 초등학교 6학년부터 붓을 잡았으니 50여년의 세월, 서예와 디자인을 접목한 현대한글서예를 통해 한글의 독특한 조형성과 예술성을 알려왔고 문자회화로 건너가는 첫걸음으로 '획의 변주, 해체로부터'라는 주제로 남산자락에서개인전을 열게 됐다.

 

중학교 때 추사 김정희 선생을 정신적인 스승으로 삼아 영묵永墨이라는 호를 스스로 짓고, 결코 형태를 따르는 게 아니라 정신을 앞에 두고 선생의 한자서예를 한글로 취환하는 작업에 몰두해 왔다. 추

 

상 표현주의의 거장 안토니 타피에스, 자유와 생명력을 은유한 초현실주의 화가 미로, 문자 추상의 거장 이응노, '서예는 죽었다'라고 외친 전위예술가 이노우에 유이치 등의 영향을 받으며 작업해 왔다.

 

이전 전시를 통해 강병인 작가는 글이 가진 뜻과 소리를 적극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을 통해 한글이 가진 독특한 조형성을 극대화한다.

 

강병인 '획의 변주, 해체로부터' 초대전은 4월 3일부터 5월 17일 까지 서울시 중구 소파로 4길 N2 ARTSPACE에서 전시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