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미래를 위한 산업구조조정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선포가 내려졌다. 계엄선포에 가장 놀란 국민은 1960~1970년 계엄령을 경험한 이들이었다. 부모님께 이야기를 들었던 이들은 창문을 열어 상황을 파악했고, 듣도 보도 못한 이들은 인터넷으로 계엄을 찾았다.

 

모든 것은 자기가 경험한 대로 움직인다. 계엄을 겪었던 이들은 두려움에 몸을 떨었고, 계엄 이후 자라난 세대는 국회의사당을 찾았다. 계엄을 겪었던 이들은 시대가 변화했지만 변화한 세대에 맞게 행동하지 못했고, 계엄 이후 자라난 세대는 그 세대를 이해한다고 했지만 그 세대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지 않았다.

 

최근 들어 이러한 경향은 한 국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1946년생인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성장시키기 위해 미국에 들어오는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했다. 특히 동남아시아 등에는 30~40%가량의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저임금에 확대한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옮기게 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의도다.

 

문제는 트럼프의 이러한 전략은 트럼프가 경험한 그 세대만의 성장전략이라는 점이다. 그 전략이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했던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효과가 발휘됐다고 해도 그때와 지금은 다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산업, 클라우드 블록체인 인공지능 등의 산업은 그 이후 급격히 성장했고, 이제는 이 분야가 한 국가의 성장 원동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나라가 성장했다면 그 이후에는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로 성장을 꾀하는 것이 맞다. 기존에는 공장을 설립해 조립 등을 했다면, 앞으로는 온라인게임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제조업으로 전환을 해야 하고, 도소매, 음식 숙박 등의 서비스업이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데이터를 분석해 자산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미국이 성장의 끝에서 퇴보하는 시간, 우리나라는 이 시간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제조업보다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비중이 현저히 낮은 상황이다.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업은 고용안정성과 임금이 여타 서비스업에 비해 높고, 내수산업이어서 세계 경기에 민감한 제조업에 비해 변동성을 낮출 수 있다.

 

다음 세대의 눈으로 성장 전략을 짜야 한다. 미국이 정책을 내밀어도 꿈쩍하지 않는 고부가가치 제조업 ·서비스업이 필요하다. 미래를 위한 산업 구조조정이 필요할 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