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보험사, 브랜드 철학으로 '승부수'

한화손보, 여성 웰니스 담은 ‘시그니처 라이브러리'
KB손보·교보라플, 콘텐츠·캠페인 강화

Chat GPT가 생성한 보험사 브랜드 철학 이미지./Chat GPT 생성 이미지

보험사들이 단순 보장을 넘어 각사의 '브랜드 철학'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여성 웰니스·일상 보호·새로운 보험 경험 등 뚜렷한 가치를 담은 콘텐츠와 캠페인으로 소비자와 친밀감을 형성한다는 전략이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보험사들은 브랜드 철학을 무기로 꺼내 들었다. 각 사의 핵심 가치를 담은 플랫폼과 영상, 광고 캠페인은 소비자의 감성과 공감대를 사로잡고 있다.

 

한화손해보험은 최근 여성 라이프스타일 콘텐츠 플랫폼 '시그니처 라이브러리'를 공식 론칭했다. '여성 웰니스 리딩 파트너'라는 브랜드 철학을 바탕으로 ▲동기부여 ▲관계 ▲금융 ▲테라피 ▲펨테크 등의 주제를 균형 있게 다룬다.

 

시그니처 라이브러리에서는 LIFEPLUS펨테크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전문적인 리포트 및 간행물을 선보인다. 브레인 컨디셔닝을 위한 명상 콘텐츠 및 인터뷰 영상 등의 자료들도 제공할 예정이다.

 

한화손해보험은 "이번 플랫폼은 한화손보의 여성향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디지털로 확장하고 고객들과의 지속적인 연결을 만들어가기 위한 새로운 시도"라며 "시그니처 라이브러리가 여성 고객의 삶에 균형을 통한 새로운 가능성을 선사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KB손해보험은 지난 3월 유튜브 시리즈 '일상을 지키는 템(ITEM)'을 공개했다. 이번 유튜브 시리즈는 KB손해보험의 브랜드 메시지 '일상을 지키는 힘'을 세련된 감성으로 담아냈다는 평가를 얻는다. 총 5편으로 구성된 영상은 배우·운동선수 등 셀럽과 '절친'이 등장해 일상을 지켜주는 소지품과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지난 3월 1화에는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의 원작자인 이낙준 작가와 웹툰 원작자 홍비치라 작가가 함께 출연해 조회수 1만3000회를 넘었다. 4월 14일에는 채널A 로펌 인턴 예능 '굿피플' 우승자이자 '더 인플루언서', '더 커뮤니티' 등 각종 OTT 프로그램에서 활약을 펼친 임현서 변호사와 응급의학과 전문의인 그의 친형이 함께 출연한 2화를 선보였고 조회수 1만회를 넘어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KB손해보험은 "셀럽과 절친의 평소 일과를 들여다보며 재미와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영상 콘텐츠를 제작했다"며 "앞으로도 KB손해보험의 브랜드 메시지 '일상을 지키는 힘'과 연관된 전달력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은 올 초 '보험경험 새로고침'이라는 새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선언한 데 이어 최근엔 광고 캠페인 "보험, 왜 만나?"를 선보였다. 변화된 소비트렌드에 따라 기존 보험의 불편했던 경험을 새롭게 고치고 고객에게 더 나은 보험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브랜드 컨셉을 제시했다.

 

캠페인은 기존 보험의 복잡함과 느린 절차를 재치 있게 꼬집는다. 고객이 자유롭고 편리하게 자신에게 꼭 필요한 보험만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혼자 해도 부담 없는 새로운 보험경험을 제공하겠다는 교보라플의 핵심 메시지를 전달한다.

 

교보라이프플래닛은 "더 이상 친구, 동료, 가족 등 다른 사람 부탁으로 필요도 없는 보험에 가입해 후회하지 않아도 된다"며 "다른 사람의 눈치나 강요가 아니라 본인의 필요에 의해서 가입하는 새로운 보험경험을 교보라이프플래닛이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