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기술로 지역을 다시 쓰다” 광주·제주 스타트업, 특화 산업과 함께 성장한다

인트플로우·와이제이컴퍼니·제주로부터

 

지역 자원과 정부 지원 맞물린 로컬 테크 스타트업

 

와이제이컴퍼니가 출시한 '프리미엄 어묵'/와이제이컴퍼니

광주와 제주에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들이 각 지역의 특화 산업과 결합해 새로운 성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단순히 지역에서 창업한 기업을 넘어, 자생력 있는 산업 주체로 자리매김한 이들 기업은 로컬의 가능성과 중앙정부 정책이 맞물릴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입증하고 있다. 정부는 지역의 자원과 산업적 강점, 그리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해 기술 중심의 로컬 스타트업을 키운다는 구상이다.

 

이미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룬 테크 스타트업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인트플로우, 와이제이컴퍼니, 제주로부터 등이다.

 

전광명 인트플로우 대표/인트플로우

우선 '인트플로우'는 광주 AI융합지구 내에서 설립된 스마트축산 기술 기업이다. AI 기반의 영상 분석 솔루션 '엣지팜'을 통해 가축의 행동·건강 상태를 실시간 분석하고, 비접촉 방식으로 체중 측정 및 성장 관리를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양돈 농가에 특화된 '엣지팜 카운트'와 '엣지팜 그로우'는 각각 비접촉 방식의 체중 측정과 성장 관리 기능을 제공해 작업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영상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 솔루션은 작업자의 수고를 줄이고, 동물 복지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인트플로우는 광주시의 'AI 특화 규제자유특구' 지원을 받아 실증 테스트와 사업화를 진행했으며, G-유니콘 육성사업을 통해 글로벌 진출 지원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북미 양돈 기업들과 기술 제휴 협의를 시작했고, CES 2023에서도 글로벌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실제 미국 내 10대 양돈기업 중 하나인 '카르타고 배터러네리 서비스(Carthago Veterinary Service)'와는 협업을 통해 판로 개척을 본격화하고 있다.

 

전광명 인트플로우 대표는 "지역 농업과 AI를 융합해 생산성을 높이는 모델을 만들고 있다"며 "기술 기반 지역 창업의 가능성을 증명하고 싶다"고 말했다.

 

제주에서는 로컬 자원을 활용한 브랜드가 주목받고 있다.

 

감귤부산물, 생선 등의 제주 특산물을 활용해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있는 대표기업이 '와이제이 컴퍼니'다. 이 기업은 제주산 식재료를 사용한 프리미엄 어묵 브랜드를 론칭하며, 지역 식자재의 고부가가치화를 시도하고 있다.

 

와이제이컴퍼니는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로컬크리에이터 육성사업에 선정돼 상품 기획, 브랜딩, 판로 개척 등에서 지원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통망을 전국으로 확장 중이다.

 

김봉진 와이제이컴퍼니 대표는 "제주의 자원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브랜드 자산"이라며 "지역의 가치를 수도권과 글로벌 시장에 연결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로부터'는 지역 농산물의 직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단순한 로컬 유통을 넘어, 생산자 중심의 유통 구조 개선과 콘텐츠 기반 브랜딩으로 주목받고 있다. 제주의 계절, 기후, 사람 이야기를 담은 '로컬 농산물 큐레이션 박스'는 정기구독 형태로 운영한다. 또 SNS를 통해 젊은 소비자층과 소통하고 있다. 이 기업 역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의 팁스(TIPS)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사업화 지원을 받았다.

 

업계 관계자는 "이들 기업은 '기술', '지역 자원', 그리고 '정부 지원'이 결합된 성공적인 스타트업 사례"라며 "정부의 지역 창업 지원 정책이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지방으로 확산되면서, 지역 특화 산업에 맞춘 창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5년까지 14개 권역별 창업 허브를 통해 창업 생태계를 재편할 예정이며, 광주와 제주는 AI, 청정에너지, 관광 산업 등 전략 산업에 맞춘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기반 스타트업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제시하는 중요한 사례가 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