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M-커버스토리]금융위기 데자뷔…뚝뚝 떨어지는 기업 신용등급

"2008년 되풀이될라"…기업 신용, 격랑 속에 놓여
"한 노치만 떨어져도 수백억"…조달비용 좌우하는 신용등급
3년 연속 내리막…상향보다 하향 더 많아졌다
"신용등급은 후행, 주가는 선행"…시장 불안은 이미 '가득'

Chat GPT로 생성한 "신용등급 하락을 걱정하는 기업 관계자들"

 최근 한층 격화한 '트럼프발 관세전쟁'과 잿빛 경제 전망 등으로 기업 신용에 빨간불이 켜졌다. 고환율에 원자잿값·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기업 실적까지 악화하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발생한 무더기 등급 강등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신용등급이 추락하면 기업들은 웃돈을 주고 돈을 빌리거나 자금줄이 막히는 '돈맥경화'를 걱정해야 한다. 투자나 인수합병(M&A)도 멈출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유동성 위기에 몰린 기업들은 '좀비기업'으로 전락하고, 이들이 금융시스템을 흔들 수 있다.

 

 11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국내 기업 신용등급상하향 배율(Up/Down ratio)은 3년 연속 내림세다.

 

 올해 1월 기준 장기 신용등급이 상향된 기업은 13곳, 하향된 곳은 25곳으로 상하향 배율은 0.53배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0.7배)보다 낮아진 수치다. 장단기 등급 및 등급 전망까지 포함하면 상향은 18건, 하향은 27건으로 상하향 배율은 0.57배다. 국내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이 약화한 탓이다.

 

 S&P글로벌은 올해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의 장기 발행자 신용 등급과 채권 등급을 'BBB+'에서 'BBB'(안정적)로 하향 조정했다. S&P는 "LG화학의 화학 부문은 중국발 공급 과잉, 수요 부진에 따른 업황 약세, 무역 긴장 전망 등으로 "2025년에도 업황 사이클의 바닥권에 머무를 것"으로 했다. S&P는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 "전기차 배터리 수요와 미국의 에너지 정책 변화와 관련해 여전히 높은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재무지표는 점진적인 설비 투자 감축에도 불구하고 기존 예상보다 부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무디스는 지난 3월 SK이노베이션의 신용등급을 투자적격(Baa3)에서 투기등급(Ba1)으로 강등했다. 석유·2차전지 업황 악화와 과중한 차입 부담이 원인이었다.

 

 엔씨소프트의 제3-2, 3-3회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은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로 하향됐다. 

 

 저축은행의 신용도 불안하다. 태광금융계열인 고려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은 'A-'에서 'BBB+'로 하향 조정하고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변경했다. 예가람저축은행의 장기 신용등급도 강등됐다. 

 신용 강등 위기에 몰린 기업도 있다. 한국신용평가 기준 '긍정적' 등급 전망을 받은 기업은 10곳이지만, '부정적'은 20곳이다.

 

 신용등급 'Aa2'인 삼성전자는 무디스 평가에서 선순위 무담보 채권의 등급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됐다. 무디스는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기술 리더십은 지난 몇 년간 약화했다"며 "치열한 경쟁과 변화하는 시장 역학 속에서 리더십을 되찾는 계획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외에도 2차전지 소재 회사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은 등급 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됐다. 신용등급 'AA+'인 고려아연도 최근 등급정망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호텔신라의 장기신용등급 등급전망은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등급이 악화한 기업 실적과 침체한 자금 조달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올해 하반기 이후에는 무더기 신용등급 강등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IB업계 관계자는 "등급이 한 단계만 떨어져도 이자 부담이 기업이 부담스러울 정도로 늘 수 있다"며 "신용등급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말했다./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1분기 한국경제가 3분기 만에 역성장 쇼크를 기록했다. 지난달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트레일러가 이동하고 있다./뉴시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