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미중 통상 훈풍에 코스피 상승날개 펴나...외인 귀환 기대감↑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뉴시스

미국과 중국의 통상 긴장 완화로 국내 증시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증시에서 9개월 연속 순매도세를 보였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달에는 순매수세로 전환했으며, 관세 우려로 인해 하락했던 업종 위주의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15% 하락한 2603.41을 기록 중이다. 전날 코스피는 대장주인 삼성전자(1362억원)와 SK하이닉스(621억원)에 반등세가 몰리면서 2600선을 탈환했다. SK하이닉스는 이달 들어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이다. 반면, 삼성전자는 가장 많이 순매도한 종목으로 꼽히지만 12일에는 가장 많이 순매수하면서 반전 흐름을 보였다.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국내 증시도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8월부터 9개월 연속 순매도세를 보였던 외국인들도 이달에는 순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

 

전일(현지 시간) 미국과 중국은 향후 90일간 상호 부과했던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 낮춘다. 예상보다 큰 관세 합의가 이뤄지면서 글로벌 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81%, S&P500지수는 3.26%, 나스닥지수는 4.35% 급등했다. 더불어 반도체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7.04% 폭등했다.

 

국내 증시도 '관세 피해주'로 꼽혔던 반도체,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날 SK하이닉스는 2.6%, 삼성전자는 5.1%씩 상승했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미중 상호관세 인하는 반도체, 스마트폰, 서버 및 반도체 장비 등과는 무관하지만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이벤트로 해석된다"며 "관세 문제가 해소되며 투자심리가 가장 크게 회복될 곳은 인공지능(AI) 반도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도 "디램(DRAM)과 낸드(NAND)의 모바일·PC향 생산 비중은 각각 47%, 56% 수준이므로 관세 부과로 인한 전방 수요 둔화는 반도체 업황에 치명적"이라며 "반도체 업황에 불확실성으로 작용했던 미중 관세의 협상 진전에 따라 향후 반도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지난달 마이크론이 선두로 메모리 제품 가격을 올리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동참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D램의 가격 인상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반등을 이끌 요인으로도 꼽힌다. 김 연구원은 "2025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RAM 생산 증가율은 10%, NAND 생산 증가율은 4% 수준으로 추정돼 수요 증가율을 크게 못 미칠 것"이라고 추정했다.

 

다만 국내 증시의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의견이 나온다. 김지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미중 긴장 완화로 위험자산 선호(리스크온) 심리 우위가 예상되며 반도체, 자동차 등 대형주가 단기 랠리를 보일 것"이라면서도 "실질적인 협상 방안이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90일간 노이즈 발생이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이에 따라 관세 피해주 트레이드 이후에는 관세에 중립적이었던 분야나 내수소비주의 조정 시기를 살펴 매수 전략을 펼치는 것이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