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경영

[혁신기업 돋보기]韓선 '연세우유 크림빵', 세계엔 '스웰리'…푸드코아 김영식 대표

코로나 팬데믹때 돌파구로 선보인 크림빵 7700만개 넘게 팔아

 

金 "올해가 수출 원년…'Swelly'로 美, 佛, 대만, 홍콩등 공략"

 

모기업 조이푸드와 1344억 매출 합작…"올해엔 성장보다 내실"

 

"식품기업 '정직' 중요해"…대한항공 기내식, KTX 쿠키등도 납품

 

김영식 푸드코아 대표가 '연세우유 크림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안성(경기)=김승호 기자】'한번도 못먹어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먹어본 사람은 없다.'

 

편의점 CU에 판매하고 있는 메가 히트 상품 '연세우유 생크림빵'으로 유명한 푸드코아가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 본격 도전장을 내밀었다. 2025년은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K-푸드 크림빵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원년이다.

 

김영식 푸드코아 대표(사진)는 "국내에선 기존과 같이 '연세우유 생크림빵'으로 판매하되 세계시장은 자체 브랜드인 '스웰리(Swelly)'로 지난해 첫 수출을 시작했다. 올해엔 수출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미국, 프랑스, 호주, 독일, 대만, 홍콩, 몽골 등이 주요 수출국이 될 것"이라고 19일 밝혔다.

 

작년 14억원 가량을 해외에 판매한 빵 브랜드 'Swelly'는 'Sweet'와 'well-bing' 그리고 친근함을 나타내는 접미사 '-y'를 섞어서 네이밍했다.

 

김 대표는 기존에 햄버거 등을 제조하던 조이푸드 자회사로 푸드코아를 2004년 설립했다. 지금은 '청출어람'이 돼 푸드코아가 모기업을 먹여살릴 정도로 성장했다. 푸드코아가 2022년 1월 처음 선보인 연세우유 생크림빵은 지난 4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보다 많은 약 7700만개가 팔려나갔다. CU 편의점을 통해서만 독점 공급하는 생크림빵은 빵을 좋아하는 '빵순이·빵돌이'들이 찾는 히트상품이 됐다.

 

김 대표는 "편의점 상품 수명은 통상 3개월 밖에 가질 않는다. 그런데도 연세우유 생크림빵은 3년 넘게 인기를 얻고 있다"며 웃었다.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된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었다. 태어난 배경도 극적이다.

 

"코로나 팬데믹 기간 전체 350여명 직원 중 97명이 코로나에 걸려 공장을 한 달간 휴무하기로 결단을 내렸다. 그런데 한달 후 공장을 가동하는게 쉽지 않았다. 흑자부도가 이렇게 나는지를 그때 경험했다. 그러다 숨겨놓은 레시피 중 하나인 크림빵을 CU에 제안을 했다. CU에서 연세우유를 연결해줘 '연세우유 크림빵'을 내놓게 됐다. 이 제품은 연세우유가 만든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든 것이다.(웃음)"

 

물론 '속이 꽉찬 크림빵'의 인기 비결은 따로 있었다.

 

김 대표는 "고객들은 속이 빈빵을 싫어한다. 속이 덜 찬 빵도 마찬가지다. 크림으로 유명한 빵이 없어서 아이템을 크림빵으로 정했다. 우리 크림빵은 80%가 크림이고 20%가 빵이다. 그 많은 크림을 넣고도 빵이 터지지 않는 비결도 숨어있다. 그리고 빵은 '습도'가 맛을 좌우한다. 촉촉한 빵이 맛있는 것은 바로 적당한 습도 때문이다. 우리는 '특허'보다 '기술'로 압도하자는게 목표다. 그래서 특허도 내지 않았다.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기기위해선 기술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영식 대표가 회사의 대표 제품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김 대표의 판단은 주효했다. 연세우유 크림빵은 날개 돋친듯 팔려나갔다. SNS에선 빵을 반으로 갈라 속에 있는 내용물을 인증하는 사진인 '반갈샷'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국내에선 잘 팔렸지만 수출이 문제였다. 냉장이나 냉동을 해야 해외에서도 제대로 된 빵맛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빵을 얼려도 노화가 되지 않는 방법이 필요했다. 연구개발 끝에 결국 찾아냈다. 냉동·냉장 빵 시장도 우리가 개척했다고 자부한다. 대만의 경우 스웰리 브랜드를 단 크림빵이 매주 40피트(ft) 콘테이너 2개씩 나가고 있다."

 

푸드코아는 지난해 983억원의 매출과 7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모회사인 조이푸드와 합하면 연결 매출이 1344억원에 달한다. 대한항공이 기내식으로 제공하는 샌드위치, KTX의 쿠키 등도 푸드코아와 조이푸드가 만든 것이다.

 

김 대표는 "올해는 성장보다 수출에 중점을 둘 것이다. 수출이 늘면 이익률도 자연스럽게 높아진다. 기업공개(IPO)도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면서 "식품만큼 정직하게 만들어야하는 것은 없는 것 같다. '정직하게 살아라'는 내가 살면서 배우고 터득한 신념이다. '신의성실'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편의점 중에서 CU와만 거래하는 것도 이때문"이라고 전했다.

 

김 대표는 창업 전엔 일본담배산업주식회사인 'JAPAN TOBACCO'에 근무했었다. 당시 브랜드인 '마일드 세븐' 등을 한국에 선보였다.

 

그는 "담배사업부에서 일하다 식품사업부 업무도 관여했다. 당시 150여 가지 중에서 빵을 아이템으로 창업하게 됐다. 한때 건강을 해치는 담배를 팔던 내가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빵을 만들고 있다. 인생은 아이러니하다"며 활짝 웃었다.

 

경기 안성에 있는 푸드코아 본사 공장에서 직원들이 제품을 만들고 있다. /사진=김승호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