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K-뷰티, 중소형이 먼저 움직였다…대형주는 반등 채비

에이피알·코스맥스, 1분기 실적 호조에 주가·목표가 동반 상승
달바·비나우·미미박스 등 IPO 대기열 가세…K-뷰티 기대주 부상
아모레·LG생건도 글로벌 실적 회복세…하반기 주가 반등 주목

지난 14일 서울의 한 화장품 전문 매장에서 화장품이 판매되고 있는 모습. 중소벤처기업부가 이날 발표한 2025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수출 품목 1위인 화장품은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한 18억 4000만 달러(약2조 6000억원)로 1분기 역대 최고 수출액을 나타냈다./뉴시스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중소형주의 질주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형주들도 북미·일본 고성장과 중국 내수 회복에 힘입어 하반기 반등 채비에 나섰다.

 

K-뷰티 중소형주는 대형주 보다 한발 앞서 반등 흐름을 탔다. 에이피알, 코스맥스,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등은 올해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며 증권가의 목표주가 상향을 이끌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월 27일 상장한 에이피알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7% 늘어난 546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발표 직후 상장 이후 주가는 90.94% 뛰었다. 목표주가도 기존 11만원대에서 15만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같은 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를 75% 웃돈 코스맥스(648억원) 역시 주가가 강세를 보이며 주목받았다.

 

이 같은 성과는 단순한 일회성이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K-뷰티의 저변 확대가 실적에 반영된 결과다. 에이피알의 1분기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한 1900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71.4%를 차지했다. 더파운더즈는 지난해 해외 매출이 377% 급증해 3644억원에 달했고, 비중은 90%에 육박한다.

 

오는 22일 코스피 상장 예정인 달바글로벌은 지난해 해외 매출 1410억원(전년 대비 218% 상승)을 기록하며 공모 흥행에 성공했다. 7조원 넘는 청약 증거금이 몰리며 상장 후 주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벤처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화장품 수출은 18억4000만 달러(약 2조6000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유럽 중심의 '가성비 K-뷰티' 수요에 힘입어 중소 브랜드들의 글로벌 확장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내년 상장을 준비 중인 비나우와 미미박스 등도 K-뷰티 IPO 열기를 이을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하반기부터는 대형 화장품주들이 뒤늦게 반등 흐름에 합류할 수 있다고 본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1분기 북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1572억원을 기록했고, 유럽과 일본 시장에서도 각각 219%, 70% 성장세를 보였다. 주가는 연초 대비 16.63% 증가했다. 다만 중국 매출은 여전히 역성장이며,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한 상태다. LG생활건강도 1분기 생활용품 부문 영업이익이 14% 증가한 366억원을 기록했으며, 화장품 부문 영업이익은 5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1% 감소에 그쳤다. 북미와 일본 매출은 각각 고성장을 나타냈고, '후' 브랜드 매출은 중국 부진에도 15% 증가했다.

 

김혜미 상상인 증권 연구원은 화장품 최선호주로 아모레퍼시픽을 추천하며 "해외 다변화는 물론 하반기 실적 모멘텀, 평가가치, 현 주가 대비 잔여 상승여력 등이 모두 양호하다"고 말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K-뷰티는 글로벌 시장을 향해 계속 나아갈 전망이다.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는 단기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으나 동시에 국내 브랜드의 매력을 부각할 수 있는 기회 요인"이라며 "인플레이션에서도 K뷰티의 가성비 매력이 부각될 것이며 외형 성장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며, 미국 외 지역에서도 높은 성장세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