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성장 멈춘 국내 전기차 시장…보조금 지원에도 판매량 감소

현대차 아이오닉5를 생산하는 모습 /현대자동차

국내 전기차 시장이 지난해에 역성장하는 등 활기를 되찾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과 정책적·구조적 문제로 시작된 수요 둔화가 차량 화재 등의 안전 문제로 이어지면서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차 업체들은 시장 흐름에 맞춰 생산라인 가동중단, 자체 보조금 지급 등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오는 27일~30일 울산 1공장 2라인의 휴업을 결정했다. 이 라인은 현대차의 전기차 주력 모델인 '아이오닉 5'와 '코나 일렉트릭(EV)'의 생산을 담당한다. 전 세계적인 전기차 수요침체 흐름 속에서 이들 모델의 재고가 쌓이며, 생산라인 조정에 나선 것이다.

 

현대차는 전기차 판매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이달 초 아이오닉 5를 대상으로 최대 600만원 규모의 할인 등 적극적인 판촉에 나섰지만, 수요 회복이 더딘 데다, 재고 소진 속도도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당초 공장 가동률 유지를 위해 '공피치(빈 컨베이어벨트 운영)' 방식으로 생산 라인을 일부 유지해 왔지만, 이 역시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생산 조정'이라는 결단을 내린 것이다.

 

현대차는 앞서 지난 2월과 4월에도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판매 부진 등의 이유로 해당 라인 가동을 각각 닷새 정도 중단한 바 있다.

 

국내 수입차 업체는 전기차 판매 확대를 위한 강력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폭스바겐코리아는 전기차 모델 ID.5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지역별 전기차 보조금 수준에 맞춰 전기차 보조금을 직접 지원하는 초강수 전략을 내놨다.

 

이는 최근 ID.5가 환경부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이같은 조치를 내놨다. 기존 계약 고객과 차량 구매를 고려한 소비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해 제조사가 자발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폴스타도 폴스타2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자체 보조금 지급을 약속했다.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지난 2월부터 시행한 자체 보조금 정책을 3개월째 지속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복합적인 문제로 시작된 전기차 캐즘 현상이 대외적 불확실성 확대로 장기화되고 있다"며 "최근에는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는 반면 하이브리드와 프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 자동차의 판매는 확대되는 추세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대수는 2023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68만 4244대다. 국내 전기차 신규등록 대수는 2018년 3만 1183대에서 2019년 3만 5074대(증가율 12.5%), 2020년 4만 6718대(33.3%), 2021년 10만 439대(1150%), 2022년 16만 4519대(63.8%), 2023년 16만 2625대(-1.2%), 2024년 14만 47대(-13.9%) 등으로 2023년 들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