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윤년과 윤달

image

 

윤년(閏年)과 윤달에 대해 보통 윤달이 든 해를 윤년이라고 알고 있는 정도일 것이다. 윤년은 과년(?年)이라고도 하는데,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정확히 말하면 365일이 아니라 365.2422일이다. 대략 1년은 4년마다 1일씩 오차가 발생한다. 오차를 바로잡기 위해 윤년이 드는 해에는 2월에 날짜를 하루 더 추가하는데 이것이 태양력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윤년이란 그레고리력에서 여분의 하루인 2월 29일을 추가하여 1년 동안 날짜의 수가 366일이 되는 해를 말한다."고 우리나라 천문법에서는 정의하고 있다.

 

윤달 또는 윤월(閏月) 역시 태음력에서 자연의 흐름과 생길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도입하는 음력의 달로 원리는 윤년과 비슷하다. 음력은 달이 기준이 되므로 달이 지구를 열두 번 도는 데 걸리는 354일이 태양년의 1년 기준인 약 365.2422일과 비교해서 1년 기준으로 11일이 빨라진다. 이렇게 계속 돌면 음력과 태양년 간 차이가 벌어지면서 태양력과 태음력 사이의 계절 간극이 커져서 계절 현상이 전혀 맞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음력과 태양년 간 차이가 한 달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음력에 날짜를 더 넣어줘야 한다.

 

우리나라 역시 달 모양에 따라 29일을 한 달로 하는 작은달과 30일을 한 달로 하는 큰 달을 번갈아 놓고 12개월 354일을 한 해로 설정한 뒤, 한 달과 같은 길이로 구성된 윤달을 추가해 지구의 태양 공전주기와의 오차를 없애는 태음태양력을 썼다. 이 역법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음력'이다. 주역과 같은 음양오행서에서는 자연순환법칙을 인간의 삶과 만사에 적용해 피흉취길(避凶取吉)의 지혜를 알려주는데, 윤년과 윤달은 지구라는 행성의 운명 해와 달의 간극을 줄이는 표시자이다. 일월성신이 역(歷)이고, 역의 표시자가 해와 달이라는 얘기이기도 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