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보험본업은 웃고 자본은 울고"…한화생명, 권혁웅·이경근 체제 과제는?

1분기 보험손익 15 %↑·운용수익 3 %대 회복…총자산 126조 ‘몸집 확대’
순익 30 %↓·K-ICS 154 %로 추락…투자 변동성·자본 버퍼 확충이 새 경영진 첫 숙제

권혁웅(왼쪽), 이경근 한화생명 대표./한화생명

한화생명이 권혁웅·이경근 각자대표 체제로 새 출발선에 섰다. 새 각자대표는 성장의 불씨를 살리면서도 지급여력 관리라는 숙제를 함께 떠안았다.

 

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한화생명의 보험손익은 104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 증가했다. 고객에게 받는 보험료에서 실제로 나간 보험금·사업비를 빼고 남은 돈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고금리 채권 편입과 분기 배당주 효과가 겹치면서 운용자산이익률도 3.19%까지 뛰었다. 3%대 수익률은 저금리·역마진에 시달리던 생보업계 전체로 봐도 반가운 수치다. 총자산은 125조8000억원으로 1년 새 12조원 이상 늘어 투자 포트폴리오를 넓힐 여력까지 확보했다.

 

다만 1분기 순이익은 1220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30%나 뒷걸음질쳤다. 글로벌 증시 부진으로 투자손익이 70% 가까이 증발한 여파다.

 

자본 건전성을 보여 주는 지급여력비율(K-ICS)도 173.1%에서 154.1%로 19%포인트(p)나 미끄러졌다. 금융당국 권고치인 150%에 근접해 위기 때 한 두 번 더 출혈이 생기면 규제선(100%)과의 간격이 빠르게 좁아질 수 있다. 부실자산비율도 0.26%로 소폭이지만 상승세다. 금리 반등이나 신흥국 채권 불안이 다시 불거질 경우 추가 자본 확충 압박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희비가 갈린 실적은 최근 단행된 사장단 인사로 고스란히 새 경영진에게 넘어왔다. 권혁웅 대표는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한화에너지·한화토탈에너지스 등 그룹 주력사에서 구조조정과 인수합병(M&A)을 진두지휘해 온 '전문 경영인'이다. 이경근 대표는 전 영업총괄 부사장 출신으로 전국 대면·독립 법인대리점(GA) 채널을 다져 온 '현장 영업통'이다.

 

업계에선 새 경영진이 '보험본업 수익성 유지와 자산운용 다변화, ALM(자산·부채)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권혁웅 대표는 그룹 계열사에서 M&A 및 사업 재편을 주도한 경험을 살려 대체·해외투자 비중 확대 등 포트폴리오 재조정에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영업통으로 알려진 이경근 대표는 보장성 상품 판매력 강화와 채널 효율화를 통해 보험서비스이익 흐름을 유지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 두 과제가 맞물리면 보험 이익과 운용이익률을 지키면서도 순이익과 지급여력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과제도 뚜렷하다. 운용자산이익률 반등은 '좋은 금리 구간'을 선점한 덕분이지만 시장 금리 인하 기조가 예상되는 만큼 추가 개선 여지는 제한적일 수 있다. 변동성 장세가 반복되면 투자손익이 다시 흔들릴 수 있어 듀레이션(채권 가중평균만기) 매칭과 헤지(위험회피) 전략을 한층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도 있다. 지급여력비율이 150 %대 초반으로 떨어진 만큼 내부유보 확대나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관리 계획이 향후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권혁웅·이경근 각자대표 체제의 시험대는 '보험본업 성장 모멘텀'과 '자본 방패 재건'을 얼마나 빠르게 결합하느냐에 달렸다. 2분기부터 보험계약서비스마진(CSM) 증가세가 둔화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권혁웅·이경근 체제는 출범과 동시에 즉시 성과를 증명해야 한다는 '실전 운영'에 돌입했다는 평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각자대표 체제의 핵심은 '속도'와 '연속성'"이라며 "공동대표는 의결에 전원 합의가 필요하지만 각자대표는 대표 중 한 명이 결재해도 바로 집행할 수 있어 시장 상황이 급변할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영업·관리 처럼 업무를 나눠 전문성을 살리는 건 회사 운영 방식의 선택일 뿐 제도 자체의 필수 요소는 아니므로 '전문성 분담 구조'라고 일반화하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