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안상미의 와이 와인]<289>이토록 우아한 호주 와인이라니…바-에덴 에스테이트

<289>호주 '바-에덴 에스테이트'

 

안상미 기자

금보다 값진 와인이다. 금광 지대에서 금을 안 캐고 심은 포도로 만든 와인이니 말이다.

 

'금보다 와인'이라는 이 집의 홈페이지 첫 화면엔 "금은 단지 물질에 불과하지만 사랑은 영원히 느낄 수 있는 감정"이라는 문구가 뜬다. 그래서 와인 '러브 오버 골드(Love Over Gold)'엔 포도나무가 뿌리 내린 땅에 대한 사랑, 와인에 대한 사랑을 담았다. 이상적, 감성적인 문구만큼 와인은 극히 우아하고 섬세하다.

 

바-에덴 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첫 화면 캡쳐.

바-에덴 에스테이트(이하 바-에덴) 오너인 피에르 앙리 모렐은 최근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대형 와이너리와 달리 바-에덴은 가능한 최고 퀄리티의 와인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로 호주의 도멘 드 라 로마네 콩티(DRC)가 되겠다는 것"이라며 "수확량을 철저히 제한해 양보다 품질에 집중하며 생산량이 적다고 해도 와인 가격을 올리거나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피에르는 프랑스 남부 론 대표 와이너리인 '엠 샤푸티에'에서 경험을 쌓고는 2014년에 호주로 오면서 바-에덴과 인연을 맺었다. 굉장히 독특한 테루아라고 판단해 바-에덴의 땅에서 재배한 포도를 1톤 정도 사들여 와인을 양조하기 시작한 것이 2022년에는 와이너리와 포도밭까지 모두 인수하게 됐다. 국내에서 유명한 호주 와인 '투핸즈'의 설립자 리차드 민츠가 피에르와 함께 바-에덴의 공동 오너다.

 

호주 와이너리 바-에덴 에스테이트의 오너인 피에르 앙리 모렐이 맹글러스 힐과 와인 '오브 오버 골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안상미 기자

피에르가 반했다는 테루아를 살펴보자. 바-에덴이 자리잡은 곳은 남호주에서도 맹글러스 힐이다. 호주 와인 애호가라도 낯설게 느껴질 터. 와이너리 이름을 보면 힌트가 있다. 바(Barr)는 바로사 밸리, 에덴(Eden)은 에덴밸리다. 호주의 대표 와인 명산지 두 곳의 중간쯤이 바로 맹글러스 힐이다.

 

기반 지질은 약 5억만 년 전 변성된 암석 토양이다. 호주 땅덩어리가 분리되기도 전이니 따지고 보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땅에 포도가 자라고 있는 셈이다. 호주 자체는 신세계일지라도 말이다. 대륙성 기후에 속해 주변은 굉장히 건조하지만 바-에덴의 포도밭은 높은 고도와 지리적 이점 등으로 많지는 않지만 비를 얻을 수 있다.

 

양조는 전통적인 방법만 고집한다.

 

피에르는 "모든 포도는 손으로 수확하며, 그마저도 포도알 하나하나를 손으로 줄기와 분리해 가장 완벽한 포도알만 골라낸다"며 "러브 오버 골드 시라즈의 경우 발효하면 딱 500리터 한 배럴만 나와 만약 곰팡이 등 문제가 생기면 아예 와인을 만들지 못하는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다보니 와인 생산량은 1만2000병에 불과하다. 와인 한 종류가 아니라 바-에덴이 한 해에 생산하는 총 규모다. 생산량이 워낙 적어 한 번 출시되고 나면 피에르라고 해도 맛볼 기회가 별로 없다.

 

(왼쪽부터)러브 오버 골드 그르나슈 2021, 러브 오버 골드 오마쥬 2022, 애비뉴 투 골드 쉬라즈 2019. /금양인터내셔날

'러브 오버 골드 그르나슈'는 남호주에서는 가장 높은 고도에서 자란 그르나슈로 만든다. 아주 건조한 지역이지만 관개는 하지 않고 포도나무 스스로 살아남도록 한다. 포도나무엔 극한의 스트레스였겠지만 이게 또 와인으로 만들면 그렇게 집중도가 있으면서도 정제되고 우아하다. 2021 빈티지는 갓 자른 꽃 향기에 과실향, 향신료가 복합적이다. 입 안에서는 섬세한 타닌과 좋은 산미가 하나 거슬릴 것이 없다.

 

피에르는 "그랑크뤼 피노누아를 연상시키지만 사실 특정 지역을 떠올리지 않는 오직 맹글로스 힐을 표현하고자 했다"며 "이런 우아함과 정제는 맹글로스 힐에서만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또 "순수함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양조과정에서 되도록 개입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2021년은 낮엔 덥고, 밤엔 서늘했다. 와인을 만들기 좋은 기후에 700병을 생산했지만 올해는 너무 건조해 겨우 300병에 그쳤다.

 

'러브 오버 골드 오마쥬'는 그르나슈와 무르베드르, 쉬라즈를 블렌딩했다. 호주 국보와인 '그랜지'를 세계 정상에 서게 한 마케팅 디렉터이자 바-에덴의 전 소유주인 밥 맥린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했다. 원래 무르베드르의 비중을 높게 하고 그르나슈에 시라즈를 조금만 섞으려고 시작했는데 막상 만들어보니 무르베드르와 그르나슈의 비율이 각각 42%로 같고 시라즈를 16% 넣으니 완벽했다. 각각 양조한 러브 오버 골드 그르나슈와 쉬라즈를 사용하니 오마쥬는 바-에덴의 최상위 라인업을 모두 맛본다고 보면 된다.

 

숙성잠재력도 기본 10년 이상이다. 그는 "더 숙성될수록 복합미가 좋겠지만 우리 와인은 사서 바로 마셔도 맛있어야 한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출시 전에 테이스팅을 거쳐 마실 상태가 아니면 와이너리에서 추가로 숙성을 해서 내놓는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