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국내 ITS 기업 상반기 결산] ②LG CNS, AI·데이터센터 투트랙...글로벌 AX 시장 공략

LG CNS가 올 상반기 AI·데이터센터·로봇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AX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LG CNS

LG CNS는 올해 상반기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 로봇 기술 등을 중심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며 인공지능 전환(AX)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LG CNS는 올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2114억원, 영업이익 789억원으로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AI·클라우드 사업은 전체 매출의 약 59%를 차지하며 주력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AI 데이터센터 사업, 보안과 기술력으로 시장 선점

 

30일 LG CNS에 따르면 이 회사의 성장 핵심 축 중 하나는 AI 데이터센터 사업이다. LG CNS는 지난 23일 네이버클라우드와 죽전 데이터센터 코로케이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하며 주목받았다. 코로케이션은 고객의 서버·네트워크 장비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임대하고, 이를 위탁받아 운영하는 서비스다. LG CNS는 오는 2033년 5월까지 네이버클라우드의 다양한 서비스를 죽전 데이터센터에 수용할 예정이다.

 

LG CNS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단순 공간 임대가 아니라 LG CNS의 데이터센터 기술력이 집약된 DBO(설계·구축·운영) 모델 성과"라고 말했다.

 

이날 공시에서 LG CNS는 자본시장법상 공시 의무인 '매출 대비 2.5% 이상 계약'으로 인해 사명만 공개하고 구체적인 사업 내용은 고객사 요청에 따라 밝히지 않기로 협의했다. 작년 매출액이 5조9826억원임을 감안하면 계약 금액은 최소 1495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LG CNS는 죽전 외에도 부산, 상암, 가산 등 국내 거점과 미국·유럽·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사업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현재 회사는 AI 데이터센터 시장 확대를 위한 액침냉각·디지털트윈 등 기술 역량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공공·금융·제조 전방위 AI 혁신 주도

 

LG CNS는 공공 AI 시장에서도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냈다. 회사는 올 6월 경기도교육청의 약 380억원 규모 'AI-데이터 중심의 경기교육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공공기관이 발주한 AI 사업 중 최대 규모다. 앞서 지난 5월 수주한 외교부 AI 플랫폼 사업(300억원 규모)에 이은 대형 성과다.

 

이번 경기교육청 사업을 통해 LG CNS는 생성형 AI 기반 지능형 디지털 플랫폼을 만들어 학생, 학부모, 교직원의 교육 업무를 통합 지원할 예정이다. 교직원 업무를 돕는 'AI 행정비서'와 학생·학부모를 위한 'AI 소통 도우미' 등을 구축해 교육 현장의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한다는 구상이다.

 

금융권에서는 신한은행에 챗GPT 기반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도입했으며, NH농협은행에는 자체 플랫폼 '댑 젠(DAP Gen) AI'를 적용한 AI 솔루션을 공급했다.

 

제조 현장에서는 S-OIL과 협력해 공정 안전 관리 통합 시스템과 플레어스택(가스연소 굴뚝) 최적화 솔루션을 개발하며 산업 지능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로봇·ERP·인재 양성으로 미래 사업 기반 구축

 

미래 성장 엔진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LG CNS는 미국 로봇기업 스킬드 AI와 손잡고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솔루션을 선보이기로 했다.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는 '3D 모바일 셔틀' 로봇을 개발했으며, 자율주행로봇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 '베어로보틱스'와 함께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선다.

 

또 독일 소프트웨어 기업 SAP와 전략적 협력을 바탕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클라우드 ERP(기업자원관리) 사업을 본격 확대할 방침이며, 인도 딜리버리센터 설립을 추진한다.

 

아울러 LG CNS는 카이스트, 서울대 등 주요 대학과 손잡고 AX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인력 풀을 확장하고 있다. LG CNS는 글로벌 매출 비중 확대를 목표로 기술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