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울릉군 남한권 군수, “미래 번영 위해 군민과 함께 나아갈 것”

사진/울릉군

남한권 울릉군수는 7월 1일, 민선 8기 3주년을 맞아 직원들과 함께 군정 주요 성과를 되짚고 향후 역점사업을 점검하며 남은 임기 1년간의 비전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2022년 7월 1일 출범한 민선 8기는 '새희망! 새울릉!'을 군정목표로 내걸고, 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울릉도와 같은 외곽 도서를 지원하기 위한 「국토외곽 먼섬 지원 특별법」 제정이라는 의미 있는 결실을 이끌어냈다. 이 법은 5년마다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추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의료 여건 개선도 눈에 띈다. 울릉군은 3년 연속 전국에서 가장 많은 16명의 공중보건의를 배치하고, 대구·경북 8개 대학병원 및 대형병원과 협약을 체결해 전문의 초빙과 응급환자 대응체계를 갖췄다. 앞으로는 보건의료원의 미개설 진료과에 전문의를 파견하는 등 의료체계의 안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관광 분야에서는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의 'K-관광섬 육성사업'에 선정돼 국비 100억 원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고아웃 하이킹 페스티벌, 솟솟클럽, 웰니스 요가, 야간 음악 관광 등 사계절 체류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울릉다운 콘텐츠의 세계화를 시도했다. 이는 숙박·외식업 등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낳고 있다.

 

생활경제 안정화에도 집중했다. 울릉군은 섬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해상운송비 부담 완화를 위한 가스·등유 가격 안정화, 생필품 가격 모니터링 및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소상공인 운영자금 지원과 이차보전 사업을 확대했다. 울릉사랑상품권 유통망 정비와 가맹점 확대도 병행해 지역 내 소비 선순환 기반을 강화했다.

 

사회기반시설 확충에도 박차를 가했다. 울릉공항은 올해 케이슨 거치를 완료하고 전체 공정률 64%를 기록 중이며, 공항 부지 내에는 1,700억 원 규모의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추진되고 있다.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보강, 남양·태하·천부 하수처리장 개설, 섬 청년 보금자리·삶터 조성사업, LPG 배관망 구축 등도 추진되며 주민들의 정주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세대별 맞춤형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울릉군은 올해 6월 인재육성재단을 출범하고, 울릉고 학생들에게 대학 등록금과 주거비, 진로캠프·어학연수 등을 지원한다. 한동대학교와의 글로벌그린 U시티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며, 2025학년도부터 울릉도 특별전형으로 5명의 지역 인재를 선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방소멸 대응기금을 활용해 도서관, 평생학습공간 등 주민 주도형 학습 플랫폼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남한권 울릉군수는 "남은 1년 동안 울릉공항 개항과 100만 관광시대에 대비해 8대 전략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뤄내겠다"며 "교육, 복지, 관광 등 모든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 울릉의 미래 번영을 위해 군민과 함께 힘을 모아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