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포항시 이강덕 시장, 11주년 기자회견…“지속가능한 글로벌 도시로”

이강덕 포항시장은 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취임 11주년 기자회견을 갖고 포항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포항시 이강덕 시장은 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취임 11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끊임없는 도전과 혁신으로 남은 임기 동안 포항을 지속가능한 세계 속의 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2014년 민선 6기 출범 당시 시민과 함께 도약하는 포항을 만들겠다는 약속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에 함께해 준 시민 덕분"이라며 감사의 인사로 모두발언을 시작했다.

 

철강산업 위기 속에서 출발한 민선 6기 포항시는 민선 8기까지 산업구조 개편과 도시경쟁력 강화에 집중해 이차전지, 바이오, 수소 등 3대 첨단 신산업을 집중 육성해왔다. 전국 최초로 이들 3개 분야의 특화단지를 모두 지정받았으며, 기초지자체 최대 규모의 기회발전특구로도 선정됐다.

 

특히 향후 분산에너지특구를 통해 청정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을 추진하고, 지역 내 재생에너지를 산업 전반에 공급해 RE100 기반의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포항시는 기존 회색 산업도시의 이미지를 벗고 해양관광·레저도시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페이스워크, 곤륜산 활공장, 용한서퍼비치 등으로 관광명소를 확장했으며, 세계녹색성장포럼을 성공적으로 유치하며 녹색생태도시로서 국제적 위상도 높였다.

 

국제전시컨벤션센터, 마이스(MICE) 산업 기반 조성도 진행 중이며, 도심철도 부지와 유휴공간을 활용한 '그린웨이 프로젝트'로 76만㎡ 규모의 도심 숲을 조성해 열섬현상과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2017년 11·15지진 이후에는 민·관 협력으로 지진 원인을 규명하고 특별법을 통과시켜 피해 구제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흥해읍 일대는 도시재생의 전국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기에는 전국 최초로 민관합동 감염병대응본부 운영, 전수검사 등으로 선제 대응했으며, 형산강 국가하천 정비, 항사댐 건립, 빗물펌프장 확충 등으로 자연재난 대응력도 높였다.

 

교통 인프라 구축에도 박차를 가했다. 포항~울산 고속도로 개통, 동해남부선·중부선, KTX·SRT 운행, 포항경주공항 재취항, 영일만항 국제여객부두 준공 등 육·해·공을 아우르는 광역교통망 구축이 완료됐으며, AI·디지털 도시 기반도 확대되고 있다.

 

문화·체육 인프라도 강화됐다. 법정 문화도시·최우수 문화도시로 선정된 포항시는 포항국제불빛축제, 호미곶해맞이축전 등으로 문화도시 위상을 높였고, 체육·도서관 인프라 확충으로 일상 속 여가 문화를 정착시켰다.

 

복지와 교육에서도 경북 최초 3무(無) 복지, 청소년재단과 진로진학지원센터 운영, 포스텍·한동대 글로컬대학 선정 등으로 인재 육성과 교육도시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이강덕 시장은 "민선 6기부터 8기까지 포항의 변화는 시민 여러분과 함께 만들어낸 결과"라며 "남은 임기 동안 함께하는 변화, 도약하는 포항을 완성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