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전자, 사우디서 '맞춤형 냉난방공조 기술' 공동연구 착수

부산대·셰이커그룹 등
사막·열대기후 맞춤 기술개발

LG전자는 지난 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부산대학교, 킹사우드대학교, 현지 파트너사 셰이커그룹과 함께 혹서지 특화 HVAC 솔루션 공동 연구를 시작한다. (왼쪽 세번째부터)셰이커 그룹 에디 전 부사장, LG전자 진심원 ES선행연구담당, 부산대학교 최재원 총장, 킹사우드대학교 야자드 알 아셰이크 부총장. /LG전자

LG전자가 고온 다습한 지역에서도 고효율·고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냉난방공조(HVAC)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기후 변화로 인해 혹서지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LG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LG전자는 지난 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부산대학교, 킹사우드대학교, 현지 파트너사 셰이커그룹과 함께 혹서지 특화 HVAC 솔루션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고온 건조한 사막지대부터 고온 다습한 열대 기후까지 실제 환경에 맞춘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현지 실사용 환경에 제품을 직접 설치하고, 운전 데이터를 수집해 시스템 성능과 제어 기술을 고도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LG전자는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과 가정용 에어컨 제품을 제공하고, 셰이커그룹은 설치 및 운영을 맡는다. 부산대와 킹사우드대는 시험 환경 조성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술 검증을 지원할 예정이다.

 

셰이커그룹은 LG전자와 중동 지역 HVAC 시장에서 오랜 기간 협력해 온 파트너다. 킹사우드대는 사우디 최초의 왕립대학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공동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산대는 압축기·열교환기 등 핵심 부품 분야에서 LG전자와 산학협력을 지속해왔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LG전자의 인공지능(AI) 기반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 V i)'에 탑재한 'AI 엔진'이다. AI 엔진은 실내외 온도와 인체 감지를 통해 냉방 세기를 자동 조절하고, 사람이 없을 땐 절전 모드로 전환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기술이다.

 

LG전자는 혹서지뿐 아니라 한랭지 맞춤형 기술 개발도 병행해왔다. 앞서 미국 알래스카, 노르웨이 오슬로, 중국 하얼빈 등지에서는 히트펌프 연구 컨소시엄을 운영한 바 있으며, 한국을 포함해 북미·유럽·인도 등 총 5개국에 에어솔루션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또한 LG전자는 43개국 65개 지역에서 HVAC 아카데미를 운영하며 연간 약 3만 명의 현지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 제품 개발부터 설치, 유지보수까지 아우르는 '현지 완결형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LG전자 진심원 ES선행연구담당은 "이번 협의는 혹서지 맞춤형 HVAC 설루션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라며 "기후대별 연구개발(R&D) 인프라를 체계화해 글로벌 공조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