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기자수첩] K-방산, ‘기회의 문’ 앞에 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의 안보 지형이 흔들리면서, 한국 방산업체들이 국제 무대 전면에 본격 등장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는 오는 2035년까지 국방비를 GDP의 5%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단순한 정책 방향을 넘어 유럽 각국의 군비 확충과 군수품 재고 비축이라는 실질적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K-방산이 이 흐름의 한복판에 선 이상, 단순한 기회를 넘는 전략적 전환이 요구된다.

 

현재 한국 방산업체들이 국제사회에서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빠른 납기와 가격 경쟁력이다. 유럽과 미국 등 전통적 방산 강국들이 느린 생산과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로 공급 차질을 빚는 사이, 한국은 신속한 대응과 일사불란한 공급망으로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대표적 사례가 폴란드다. K2 전차와 K9 자주포 수백 대를 발주하며 한국 방산의 역량을 실시간으로 검증했다. 공급 계약 체결에서 실물 납품까지 이어지는 속도는 그 자체로 하나의 무기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세가 오래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단순한 납품 속도나 가격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 무기체계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미래전 양상이 급변하면서, 지속가능한 기술력과 시스템 통합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드론, AI, 무인화, 우주 방위, 에너지 무기와 같은 미래형 플랫폼에서의 경쟁력 확보 없이는 '저가형 대량 생산국' 이미지에 머무를 수 있다. 한때 한국 자동차가 '값싼 대안'에 그쳤던 것처럼, 방산도 동일한 우려에서 자유롭지 않다.

 

또한, 해외 고객들은 단순한 완제품 납품이 아니라, 유지보수(MRO), 교육훈련, 현지 생산 파트너십까지 포괄한 종합 솔루션을 요구하고 있다. 선진 방산국들은 이미 자국 내 생산 유도, 기술 이전, 협력 생태계 조성 등을 수출 계약의 조건으로 내걸고 있다. 이제는 무기를 '파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파트너 국가와의 신뢰 구축, 장기적인 운용 지원 체계를 얼마나 잘 설계하느냐가 관건이다.

 

K-방산이 진정한 '전략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선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도 중요하다. ㎡정부는 무기 수출 대상국과의 외교적 교섭력 강화, 수출 절차 간소화, 국방기술 보호와 이전의 균형 등 제도적 뒷받침을 서둘러야 한다. 민간 기업은 생산능력 확대뿐 아니라, 미래 기술 투자와 품질 보증 시스템 강화에 집중해야 한다. 기회를 일궈내는 것은 속도와 가격이지만, 신뢰를 쌓아가는 것은 품질과 내실이다. '전쟁특수'를 넘는 전략적 성장이 필요한 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