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 상승…3분기 소매경기 기대감 4년 만에 최고

/대한상의

고물가와 고금리로 움츠렸던 소비심리가 새 정부에 대한 기대와 소비쿠폰 발행, 여름 휴가 특수 등과 맞물려 회복세를 보이며 국내 유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3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조사를 보면, 전망치가 102로 집계되며 전 분기(75) 대비 27포인트(p)나 급등했다. 이는 2021년 3분기(106) 이후 4년 만에 기준치(100)를 웃도는 전망치다. RBSI는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다고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대한상의는 "주식시장 상승세, 금리 인하 기대 등과 함께,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소비쿠폰 지급 등 소비 진작책이 여름 휴가철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됨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새 정부 출범에 대한 유통업계의 기대도 컸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2.4%)이 '새 정부 출범이 자사 업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은 17.6%에 불과했다.

 

업태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편의점(108)과 온라인쇼핑(105)은 나란히 기준치를 웃돌았고, 슈퍼마켓과 백화점도 기준치인 100을 기록했다. 반면 대형마트(89)는 유일하게 기준치를 밑돌았다.

 

편의점(71→108)은 업태 중 가장 높은 기대를 보였다. 여름 휴가시즌 중 유동 인구 증가에 따른 음료와 간편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여기에 소액 결제가 많고 소비쿠폰을 이용할 가능성이 다른 업태보다 커 정부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를 볼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쇼핑(105) 역시 강세가 예상됐다. 여름철 특수 품목인 여행·레저용품, 항공·숙박 등 계절적 수요가 기대를 키웠다. 주식시장 상승 역시 가전, 가구 등 준내구재 온라인 구매를 촉진할 요인으로 꼽혔다.

 

슈퍼마켓은 기준치(100)를 기록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고물가에 따른 집밥 선호 현상이 뚜렷한 데다, 슈퍼마켓이 지역 밀착형 특성상 편의점과 더불어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가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 정책의 수혜 영향권에 들 것으로 분석됐다.백화점(100)도 기준치를 회복했다. 주식시장 반등에 따른 부의 효과가 명품, 고가 패션, 주얼리 등 프리미엄 상품군 매출을 견인하고, 여름휴가가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대형마트(89)는 업태 중 유일하게 기준치를 하회했다. 대형마트에서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는 데다 온라인 채널 및 슈퍼마켓과의 가격경쟁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희원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새 정부 출범과 소비 진작책에 대한 기대가 크지만, 이것이 실제 소비 회복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